인동덩굴은 흰꽃으로 피었다가 노란색으로 변한다.수분을 하고 나면 다른 매개자를 거부하는데,'나 결혼했어요'라는 뜻으로 색의 변화를 가져온다.매개자에게 헛수고를 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일까,치근대는 매개자로부터 점잖게 거절하는 방법일까? 어느 쪽이든 얼마나 지혜롭고 고상한가! 놀랍다.![](https://t1.daumcdn.net/cfile/blog/1615E7464FCC0ACD1F)
인동덩굴 (인동과) / 인동덩굴 [인동] [금은화] [눙박나무] [섬인동] [털인동덩굴] [우단인동] [우단인동덩굴]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위례강변길 120524
하남 120531
강변위례길 120604
선유도 11.06.28
(수리산 11.10.11)
(물향기수목원 11.10.25)
위례강변길 121114 / 인동덩굴 열매
충주 계명산 121216
개화기
-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너비 1-3cm로서 톱니가 없고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 남으며 엽병은 길이 5mm로서 털이 있다.
-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 서로 떨어져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 꽃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엽액에 달리며 포는 잎 바로 밑에달리고 길이 2-3cm이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털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 안쪽에 복모가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그 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 줄기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골속이 비어 있고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함북을 제외한 전국 산야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 형태
반상록활엽의 덩굴성관목
- 크기
높이가 3-4m 가량된다.
- 생육환경
산야에서 자란다.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 또는 양토가 좋으나 토질은 특별히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자라며 건조한 곳에서도 충분한 햇볕만 받으면 생육이 왕성하다. 생장이 빠르고 공해에도 강하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번식은 분근이 가장 용이하다. 대량의 묘목을 얻기 위해서는 삽목을 하는 것이 좋으며 발근율이 높고 3-9월까지 일반 노지에서 가능하다.
- 결실기
9월, 10월
- 삽목기
3월, 4월, 7월
- 이용방안
▶척악지 녹화 또는 아치 등에 감아 올리는 경계용 생울타리로도 적당하다.
▶경엽(莖葉)은 忍冬藤(인동등), 꽃봉오리는 金銀花(금은화), 과실은 銀花子(은화자), 꽃봉오리의 수증기증류액은 金銀花露(금은화로)라 하며 약용한다.
⑴忍冬藤(인동등) - ①가을과 겨울에 엽(葉)이 달린 덩굴을 채취하여 작은 다발로 묶어서 또는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잎에는 lonicerin, 즉 luteolin-7-rhamno-glucoside와 luteolin 등의 flavonoid류(類)가 함유되었고 줄기에는 tannin,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解熱(해열), 通經絡(통경락)의 효능이 있다. 溫病發熱(온병발열), 熱毒血痢(열독혈리), 전염성간염, 癰腫瘡毒(옹종창독), 筋骨疼痛(근골동통)을 치료한다.
⑵金銀花(금은화) - ①인동덩굴의 꽃봉우리로서, 5-6월 맑게 갠날 이른 아침에 이슬이 마를 때를 기다려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그늘에 말린다. ②성분 : 꽃에는 luteolin, inositol 약 1%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 saponin, tann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溫病(온병)으로 인한 發熱(발열), 熱毒血痢(열독혈리), 癰瘍(옹양), 腫毒(종독), (나력), 痔漏(치루)를 치료하며 또 外感發熱咳嗽(외감발열해수), 장염, 細菌性赤痢(세균성적리), 痲疹(마진), 耳下腺炎(이하선염), 패혈증, 瘡筋腫毒(창근종독), 맹장염, 外傷感染(외상감염), 小兒 毒(소아비독-汗疹(한진))의 치료에 쓴인다. 凉茶(양차-상기 증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용하는 차)로서 복용하면 暑氣滯(서기체), 感冒(감모), 腸(장)의 전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⑶銀花子(은화자) - ①10월하순부터 11월상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손으로 만져보아 뜨겁고 점성이 약간 있을 정도로 볶는다. ②약효 : 淸血(청혈), 祛濕熱(거습열), 淸凉(청량), 해독의 효능이 있다. 腸風(장풍), 赤痢(적리)를 치료한다.
⑷金銀花露(금은화로) - 淸熱(청열), 養血(양혈), 消暑(소서), 止渴(지갈)의 효능이 있다. 暑溫口渴(서온구갈), 熱毒瘡癤(열독창절), 癰疽(옹저), 梅毒(매독), 血痢(혈리)를 치료한다. - 유사종
▶털인동(var. repens Rehder) : 새로 자란 가지와 잎에 갈색털이 있는 것.
▶잔털인동(for. chinensis Hara) : 잎의 가장자리외에는 거의 털이 없으며 상순(上脣)은 반 이상 갈라지고 겉에 엷은 홍색이 도는 것.
▶붉은인동(for. rubra): 붉은 꽃이 피는 것. - 특징
1차식생이며 울폐된 숲에서는 나무에 기어올라 자라며, 늦게 난 잎은 때로 상록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 병충해정보
▶병충해 : 줄나비 유충
(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붉은인동(인동과)
(세미원 11.07.24)
제이드가든수목원 120624
하남 120703
청태산 아랫마을 120708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빗살나무 / 딱총나무 / 쪽동백나무 / 서어나무 / 댕댕이덩굴 (0) | 2011.07.31 |
---|---|
생강나무 (녹나무과) (0) | 2011.07.31 |
황매화 / 죽단화 (장미과) (0) | 2011.07.28 |
능소화 / 미국능소화(능소화과) (0) | 2011.07.24 |
배롱나무 / 보리수나무 / 자귀나무 / 쉬땅나무 / 멍석딸기 / 쥐똥나무 / 복자기 / (길동생태공원 11.07.12) (0) | 2011.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