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충(두충과)
-망상맥,잎에 섬유질이 많다.
(예봉산 11.07.19)
(예봉산 11.10.04)
두충 치수
(축령산 11.12.06)
동구릉 120908
오동나무(현삼과)
오동 나무 VS 벽오동(봉황을 부르는 나무)
벽오동 - 수피가 얇고 온색을 띄면 잎이 장상맥임.
열매 : 오동나무 - 동그란 주머니 모양으로 위쪽부분이 갈라지면서 씨가 나옴(삭과)
벽오동 - 돛단배 모양을 띄고 있으며 얇음. 열매의 씨앗은 지방이 37% 단백질이 23%가 함유되어 기름을 짜 먹기도 함.
벽오동의 초록색 줄기 또한 단풍나무 줄기처럼 광합성 작용을 할 수 있음.
(예봉산 11.07.19)
(예봉산 11.10.04)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잎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나고 (오동나무는 잎 마주난다)
- 엽흔은 도드라지지 않고 원형이다
- 어린가지는 밋밋하다
- 겨울눈이 둥근 원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 수피는 녹색이고 하얀 줄이 세로로 나타난다.
(국립수목원 11.10.14)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고 끝이 3-5개로 갈라지며 길이와 나비가 각 16-25cm이고 열편은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에 짧은 털과 맥액에 갈색 밀모가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이 잎보다 길고 맥이 뚜렷하다. 오동잎과 비슷하다.
- 열매
열매는 5개의 분과로 되어 익기 전에 벌어져서 완두콩 같은 종자가 보이고 10월에 익는다.
- 꽃
원추화서는 길이 25-50cm로서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단성으로서 6-7월에 피며 담황색이고 한 화서에 암꽃과 수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로서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수술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1개의 통 끝에 10-15개의 꽃밥이 있다. 암술은 수술통 끝에서 서고 암술머리가 넓다.
-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통직하며 수피는 성숙되어도 청녹색으로 평활하며 갈라지지 않고 줄기의 수피가 푸른색을 띄어 벽오동이라 한다.
- 원산지
중국 원산.
- 분포
▶하와이,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중부 이남지역에 많이 식재하고 있다. - 형태
낙엽활엽교목.
- 크기
수고 15-20m.
- 생육환경
내한성이 약해 중부내륙에서는 1년생 지상부가 종종 동해를 받으나 연수가 경과하면 추위에 강해진다.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고 대기오염에 강하므로 도심지 식재가 가능하다.
- 내한성
중간
- 토양
비옥
- 꽃/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10월에 종자를 채취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종자가 떨어지기 전에 과서를 잘라 채종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한번 건조시키니 종자는 거의 발아가 안되므로 채종 즉시 직파하거나 건조를 막을 수 있도록 모래와 섞어 두었다가 봄에 파종한다.
ⓒ순량율 97%, ℓ당 입수 2,314립, 발아율 66% 이다. - 꽃/번식방법
이식력이 약하므로 어린나무로 키울때 여러번 옮겨 심어 잔뿌리의 발달을 유도한 다음 이식하는 것이 좋다.
- 결실기
10월
-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내공해수종
▶대기오염에 강하고 바닷바람에 강하여 가로수, 공원수, 정원수로 식재한다.
▶열매는 볶아서 커피대용으로 이용하고 여기서 추출한 기름은 식용유로 사용한다.
▶가구, 건축, 상자, 찻그룻, 악기, 젓가락, 펄프로 사용한다.
▶수액은 제지용 풀, 수피는 섬유 및 약용으로 이용된다.
▶종자, 根(근), 수피, 葉(엽), 花(화)를 약용한다.
⑴梧桐子(오동자) - ①성분 : 脂肪油(지방유-不乾性油(불건성유)) 39.69%, 무기성분 4.85%, 組纖維(조섬유) 3.69%, 단백질 23.32%, 非窒素物質(비질소물질) 28.45% 및 caffeine이 함유되어 있고 油(유)에서는 sterculin酸(산)이 분리된다. ②약효 : 順氣(순기), 和胃(화위),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傷食(상식), 胃痛(위통), 疝氣(산기), 小兒口瘡(소아구창)을 치료한다.
⑵梧桐根(오동근) - 祛風濕(거풍습), 和血(화혈), 通經絡(통경락)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관절통, 腸風下血(장풍하혈), 월경불순, 타박상을 치료한다.
⑶梧桐白皮(오동백피) - ①성분 : 수피에는 수분 40.63%, 무기성분 2.69%, 粗蛋白質(조단백질)4.16%, 粗脂肪(조지방) 2.47%, 粗(조) cellulose 25.14%, pentosan과 pentose 6.61%가 함유되어 있고 또 octacosanol, lupenone과 소량의 蔗糖(자당)이 함유되어 있다. 수피에서 浸出(침출)되는 점액에는 galactan, pentosan, uron酸(산),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痲痺痛(마비통), 타박상, 월경불순, 치질, 丹毒(단독) 등을 치료한다.
⑷梧桐葉(오동엽) - ①성분 : Betaine, choline, β-amyrin, β-amyrin-acetate, β-sitosterol, hentriacontane 및 rutin 0.15%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거풍), 除濕(제습),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마비, 癰瘡腫毒(옹창종독), 겸창,脛部潰瘍(경부궤양), 創傷出血(창상출혈), 고혈압증을 치료한다.
⑸梧桐花(오동화) - 淸熱(청열)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禿瘡(독창), 화상을 치료한다. - 특징
줄기의 수피가 벽색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벽오동이라 한다. 생장속도는 어릴때는 빠르나 자람에 따라 보통이다. 목재의 변재는 담황백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뚜렷히 구분되지는 않으나 연륜은 뚜렷하다. 환공재로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갗은 거칠다. 내후 보존성은 매우 나쁘나 절삭가공, 건조 및 할열 등이 양호하다.
- 병충해정보
▶병해 : 눈마름병, 줄기마름병.
- 방제방법
▶줄기마름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티나무(느릅나무과) (0) | 2011.08.10 |
---|---|
개머루 / 가새잎개머루 / 까마귀머루 (포도과) (0) | 2011.08.08 |
산딸기 / 줄딸기 / 멍석딸기 / 곰딸기 (장미과) (0) | 2011.08.07 |
헛개나무(갈매나무과) / 개암나무 / 다릅나무 / 은사시나무(버드나무과) (0) | 2011.08.07 |
싸리 / 참싸리 / 조록싸리 / 개싸리 / 애기족제비싸리 /족제비싸리 (0) | 201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