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꼬마리/큰도꼬마리/가시도꼬마리 동정 비교표
도 꼬 마 리 | 큰 도 꼬 마 리 | 가 시 도 꼬 마 리 | |
잎 | 넓은 삼각형,예두 아심장저 | 난형,광란형/잎자루 길다 | 넓은 난형 |
총포 크기 | 0.8-1.4 cm | 2.0-2.5 | 1.9-3.0 |
기타 | 총표 표면에 털이 있어 광택 안남 | 털이 없어 총포 표면 광택남 | 총포 표면과 가시에 비늘조각 모양의 털 많음 |



(예봉산 11.09.11)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예두 아심장저이고 길이 5-15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3개의 큰 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양면이 거칠다.
- 열매
총포의 갈고리 같은 돌기 속에 2개의 수과가 들어 있다.
- 꽃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있고 수꽃의 두상화는 둥글며 끝에 달리고 암꽃의 두상화는 밑부분에 달리며 2개의 돌기가 있다. 총포는 갈고리같은 돌기가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1cm정도이고 그 속에 2개의 수과가 들어 있다. 갈고리같은 돌기로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단모(短毛)가 많으며 보통 엷은 녹색으로 흑자색의 반문(班紋)이 산재한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중앙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 많다. - 형태
1년생 초본이다.
- 크기
높이 1m이다.
- 생육환경
집마을 빈터, 밭머리, 낮은 지대의 길가에서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 많다.
- 꽃/번식방법
과실에 의한다.
- 결실기
10월
- 이용방안
▶莖葉은 蒼耳(창이), 根은 蒼耳根(창이근), 花는 蒼耳花(창이화), 總苞(총포)가 달린 과실은 蒼耳子(창이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蒼耳(창이) - ①여름에 全草를 채취하여 흙을 털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頭風(두풍), 頭昏(두혼), 濕痺拘攣(습비구련), 目赤(목적), 角膜混濁(각막혼탁), 風癩(풍라-癩病(나병)), (정종), 熱毒瘡瘍(열독창양), 皮膚搔痒(피부소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낸 즙, 바짝 졸여서 膏(고)로 하던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던가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가루를 만들어 고루 바르거나 달린 液(액)으로 씻는다.
⑵蒼耳根(창이근) - ①성분 : 糖(당) glycoside를 함유하며 항암작용이 있다. ②약효 : (정창), 癰疽(옹저), 咽頭(인두) 및 下 淋巴腺炎腫(하함임파선염종), 丹毒(단독), 고혈압, 이질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신선한 것 15-30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짓찧어 낸 생즙 또는 바짝 졸여서 膏(고)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하던가 또는 졸여서 만든 膏(고)를 바른다.
⑶蒼耳花(창이화) - ①약효 : 白癩頑痒(백라완양)을 치료하며 白痢(백리)를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0-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⑷蒼耳子(창이자) - ①8-9월 과실이 익으면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과실에는 xanthostrumarin 1.2%, 樹脂(수지) 3.3% 및 脂肪油(지방유), alkaloid, 비타민C, 색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건조한 과실은 脂肪油(지방유) 9.2%를 함유하며, 그 脂肪酸(지방산)은 linoleic acid 64.20%, oleic acid 26.8%, palmitic acid 5.32%, stearic acid 3.36%가 차지하고 있다. ③약효 : 散風(산풍), 止痛(지통), 除濕(제습), 살충의 효능이 있다. 風寒(풍한-風邪(풍사)), 두통, 鼻淵(비연-축농증), 齒痛(치통), 風寒濕痺(풍한습비-風寒(풍한)으로 인하여 저린 것), 四肢痙攣(사지경련)과 통증, 疥癩(개라), 瘙痒(소양)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 유사종
큰도꼬마리(X. canadense)





(국립수목원 11.10.14)
(한강둔치 11.10.27)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며, 길이 6-12㎝의 긴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난형(卵形) 또는 광란형(廣卵形)이며, 두껍고 3천열(淺裂) 또는 중열(中裂)이 되며, 열편은 3각형을 이루며 끝이 뾰족하다. 3맥이 뚜렷하며 잎 가장자리는 크기가 다른 끝이 뾰족한 톱니가 뚜렷하고 표면이 거칠다.
- 꽃
꽃ㅇ느 8-9월에 피며, 가지나 줄기 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룬다. 자웅동주(雌雄同株)로 수꽃의 두화(頭花)는 둥글며 화서(花序) 끝에 달리고, 암꽃은 수꽃 밑에 부착한다. 암꽃의 총포는 타원형이고 밀집 부착되며, 길이 2-2.5㎝, 폭 1-1.8㎝, 위쪽에 끝이 굽은 부리 모양의 돌기가 2개가 있고 길이 3-6㎜의 사마귀 모양의 선점(線點)이 산재한다.
- 줄기
줄기는 높이 50-200㎝, 표면이 거칠고 반점(班點)이 있다.
- 원산지
북아메리카 원산
- 분포
춘천에서 발견되었으며 최근에는 서울의 난지도에서 발견되었다.
- 형태
1년생 초본
- 크기
높이 50-200㎝
- 특징
국내에서는 이우철, 정현배 양씨에 의하여 1972년 춘천에서 채집되고 `큰도꼬마리`로 국명을 발표하였다.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뚱딴지 (국화과) (0) | 2011.09.12 |
---|---|
과꽃 (국화과) (0) | 2011.09.12 |
표주박 (박과) (0) | 2011.09.10 |
강낭콩 (콩과) (0) | 2011.09.10 |
수세미오이 (박과) (0) | 201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