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표
서 어 나 무 | 개 서 어 나 무 | |
잎 |
.씨가 붙어 있는 포는 한쪽에 결각모양의 톱니 와 거치가 있는 반대쪽에 엄지손가락 같은 돌기가 있다
|
.씨가 붙어 있는 포는 한쪽에만 톱니가 있다 |
소 지 | .소지와 겨울눈에 털 없음 | . 소지와 잎맥,잎자루에 털 많다 |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남한산성 11.07.26)
(남한산성 11.10.03)
(창경궁 11.11.22)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호생하고 붉은빛이 돌지만 녹색으로 되며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길이 5.5-7.5cm, 폭 2.5-4cm로서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며 원저, 아심장저 또는 예저이고 복거치가 있으며 측맥은 10-12쌍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6-18mm로서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나중에는 없게된다. 잎은 홍색에서 녹색으로 변하고 붉은 단풍이 든다.
- 열매
과수는 길이 4-8cm, 지름 1.8cm로 대가 있고 처진다. 포는 길이 1-1.7cm로서 한쪽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반대쪽 기부에 1개의 돌기가 있고 소견과는 길이 3mm로서 넓은 난형이며 9~10월에 익는다.
- 꽃
꽃은 일가화로서 잎보다 먼저 4~5월에 피며 웅화수는 전년의 엽액에서 나며 소지에서 밑으로 처지고 수꽃은 각 포에 1개씩 달리며 적황색을 띠고 수술은 8개이며 수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자화수는 금년의 새로 나온 가지끝에 붙어 있고, 대가 있으며 각 포에 암꽃이 2송이씩 달리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녹색을 띤다.
- 줄기
높이 15m, 지름 1m이고 수피는 회색이며 평활하며 근육모양으로 울퉁불퉁하고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다. 줄기는 옆으로 자라며 작은 가지는 홍갈색이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일본, 중국에서 분포한다.
▶황해도, 강원도 이남의 표고 100~1,000m 지대에 자생한다. -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난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 크기
수고:15m, 직경 1m
- 희귀, 특산식물 정보
[특산식물]
- 생육환경
▶산지에서 자라고 내한성이 강한 양수로서 햇빛이 잘 드는 장소의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 자생한다. 내조성이 강해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라지만 공해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내음성이 강하여 산중턱 이하의 소나무와 낙엽할엽수림 아래서 이차림으로서 온대림지역에 잘 발달되어 있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①10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12월 중 노천매장 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②순량율 95%, ℓ당 입수 100,698립, 발아율 16% 이다. - 꽃/번식방법
밀식재배시 이식하면 수피가 피해를 받는다.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용재수종, 내음수종
▶건축재, 기구재, 농기계자루, 차륜재, 피아노 공명판에도 쓰이는 고급 나무이다.
▶목재는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원목으로 쓰인다.
▶조경가치 및 용도 : 회백색의 울퉁불퉁한 줄기가 야성적이며 군식하면 아름다운 집단미를 나타낼 수 있다. 공원수, 정원수, 풍치수로 적당하며 분재소재로도 가치가 있다. - 보호방안
다양한 용도로서 이용될 수 있어 보다 많이 번식되어 대중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유사종
▶긴서어나무(var. longispica Uyeki): 화서의 길이가 13-15cm, 대의 길이가 4-4.5cm이다. 지리산,내장산에서 자란다.
▶왕서어나무(var. macrophylla Nak.): 잎이 둥근 타원형이고 길이 7-9cm, 폭 5-5.5cm이며 엽병의 길이가 8-25mm이다.
▶개서어나무(C.tschonoskii Max.)
▶당개서어나무(C. tschonoskii var. brevicalycina Nak.)
▶왕개서어나무(C. tschonoskii var. eximia Hatus.) - 특징
▶우리나라 온대림의 극상림(極相林)의 우점종(優占種)은 서어나무이다.
▶맹아력이 약하고 잎이 나올 때 진분홍색으로 돋아나 연두빛으로 변한다.
▶심,변재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회백색 담황백색이며, 연륜도 뚜렷하지 않다. 산공재로 나무같은 치밀하고 견고하며 무겁고 광택은 보통이며 절삭가공, 접착성은 보통이며 건조속도는 느리고 도장성은 양호하나 잘썩는 편이다. - 병충해정보
병해 : 탄저병, 황색줄기마름병, 회색반점병
충해 : 미국흰불나방, 느릅나무잎벌레, 장수하늘소 - 방제방법
▶탄저병 : 실생묘에는 3-3식 보르도액을, 분근묘와 성목은 4-4식 보르도액 또는 다이센수화제 500배액을 6월 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부린다.
▶미국 흰불나방 : 유충가해기에 슈리사이드, 디프 50%유제, 80%수용재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잎벌레 : 유충가해기인 5월 하순에서 7월 하순에 디프제 1,000배액, 나크 3% 분제(ha당 40kg) 등을 수관에 살포한다.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7월-8월에 성충을 포살한다.
▶하늘소 : 4월 상순에서 하순에 메프제(스미치온 등)1,000배액을 2-3회 수간에 살포한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남산 11.11.15)
수피는 회색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 않으며
소지는 털이 있고 백색 피목이 산재한다.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2줄로 호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4-8cm로서 뾰족한 세복거치(細複鋸齒)가 있으며 측맥은 12-15(보통 13쌍 이상)쌍이고 표면과 뒷면 맥 위에 복모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4-12mm로서 털이 있다.
- 열매
과수는 길이 6-7cm로서 중축과 화축에 털이 있으며 포는 길이 7-22mm로서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첨두이며 한쪽에 톱니가 있다. 소견과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4-4.5mm로서 끝에 잔털이 있으며 9-10월에 성숙한다.
- 꽃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며 웅화수는 대가 없고 포는 털이 없으며 수꽃은 한 포린에 1개씩 달리고 4-8개의 수술이 있다. 자화수는 대가 있으며 암꽃은 각 포린에 2개씩 달리고 각 1개의 자방과 2개의 암술대가 있다. 길이 4-8cm의 화서를 이룬다.
- 줄기
높이 15m, 지름 70cm이며 수피는 회색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 않으며 소지는 털이 있고 백색 피목이 산재한다.
-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 분포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남에서 자란다.(경남·북, 전남·북등 비교적 남쪽에 자란다.) - 형태
낙엽 활엽 교목
- 크기
높이는 15m, 지름은 70cm로 자란다.
- 생육환경
내한성이 강한 양수로서 건조하고 척박한 곳이나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라지만 공해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번식은 10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 이용방안
▶목재는 건축재나 기구재, 기계재 등으로 사용된다.
-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 유사종
▶긴서어나무(var. longispica Uyeki): 화서의 길이가 13-15㎝, 대의 길이가 4-4.5㎝이다.
▶왕서어나무(var. macrophylla Nakai): 잎이 둥근 타원형이고 길이 7-9㎝, 폭 5-5.5㎝이며 엽병의 길이가 8-25㎜이다.
▶당개서어나무(var. brevicalycina Nakai): 소견과의 윗부분이 화피 밖으로 나오며 백양산과 지리산에 자란다.
▶왕개서어나무(var. eximia Hatus.): 잎은 길이 9-10.5㎝, 폭 5.5-6㎝이고 소견과는 화피로 둘러싸여 있다. - 특징
▶천연기념물
제82호(무안군 청계면)로 지정되어 있다. - 지정사유:인공방풍림의 역사적 유물
제108호 - ⓐ소재지: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지정사유:방풍림(역사적유물) 함평 대동면의 팽나무, 느티나무, 개서어나무의 줄나무와 함께 지정되어 있다.
▶서어나무처럼 강한 음수로서 온대지역 수림하의 이차림으로서 잘 발달되어 있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불나무,올괴불나무 (인동과) (0) | 2011.11.17 |
---|---|
피나무(피나무과) (0) | 2011.11.16 |
자귀나무 (콩과) (0) | 2011.11.16 |
망종화(물레나물과) (0) | 2011.11.16 |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0) | 201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