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
-총포편에 돌기
국립수목원 120417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국화과)
<우리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의 차이점>
우리민들레 - 자가 수분을 하지 않고 타가 수분을 한다.
한번 피어 씨를 날리면 그 씨가 다시 피지 않고 다음 해를 기다린다.
서양민들레 - 자가수분을 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씨를 만들수 있다.
환경과 기온만 맞으면 계속 꽃을 피우고 씨를 날리고 또 씨를 튀우고 꽃을 피우고~~~
아파트 풀밭을 들여다보니 민들레가 로제트형으로 여기저기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뿌리잎이 어린잎에서 부터 조금 큰 것까지
여러 단계별 뿌리잎이 자라고 있어 관찰하기 좋습니다.그냥 민들레인줄 알았는데 서너군데 꽃이 피어 있어 꽃을 들여다보니
꽃 총포편이 제껴 있어 '서양민들레'로 판명됩니다.
(하남 11.07.13)
(한강둔치 11.08.31)
(창모루 11.09.03)
(죽암 11.09.04)
하남 120415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꽃은 민들레와 비슷
-꽃은 민들레를 닮았으나 원줄기와 잎이 다르다.
-잎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고,새깃 모양으로 고르지 않게 갈라지기도.
-잎을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선유도 11.06.28 )
(수리산 11.07.12) (한강둔치 11.07.11)
(아파트 11.07.13)
(장봉도 11.08.28 )
(서울 청계산 11.09.20)
(서울 상암동 11.10.01)
하남 121017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어려서는 자홍색을 띠나 자라면서 회록색을 띤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잎 사이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2-18cm, 나비 1-2.8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떨어져 있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떨어져 달리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 열매
수과는 갈색의 타원형이며 길이 3.5mm로서 양면에 5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13mm로서 윗부분이 백색, 밑부분이 갈색이며 9-10월에 익는다.
- 꽃
꽃은 8-10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산형화서 비슷하게 달리며 화경은 길이 1.2-8cm로서 굵고 털이 있으며 포는 1-2개이다. 총포는 넓은 통형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16-20mm, 지름 4-5mm이며 흰솜털이 있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으로 길이 4-6mm이고 내편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8-10mm이다. 꽃은 모두 설상화이며 황금색이고 길이 21-24mm, 나비 2mm로서 화관끝이 5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3-14m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 줄기
높이 30-100cm이고 전체에 유백색즙이 있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단일하거나 가지를 적게 치며 털이 없고 세로로 줄이 있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형태
다년초.
- 크기
높이 30-100cm이다.
- 생육환경
▶바닷가에 가까운 들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 결실기
9월, 10월
- 이용방안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전초)는 거매채, 花(화)는 거매채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거매채
①봄에 꽃이 피기 전에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淸熱(청열), 해독, 補虛(보허),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細菌性下痢症(세균성하리증), 喉頭炎(후두염), 虛弱咳嗽(허약해수), 內痔脫出(내치탈출), 白帶(백대)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거매채화
①여름과 가을에 꽃이 피기 직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급성황달형 전염성간염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까치깨/광릉용수염/토현삼/세잎꿩의비름/ 송장풀---(예봉산) (0) | 2011.07.21 |
---|---|
개회향 (산형과) / 사상자 / 개사상자 (산형과) (0) | 2011.07.18 |
망초 / 큰망초 / 개망초 / 봄망초 (국화과) (0) | 2011.07.12 |
조개풀 / 주름조개풀 / 나도바랑이새 (벼과) (0) | 2011.07.12 |
석잠풀 / 꽃층층이꽃 / 산층층이 (꿀풀과) (0) | 201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