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철쑥 / 화악산 11.08.09
-사계절 모습 다름, 인진쑥으로 쓰임 (목본 '더위지기'도 인진쑥으로 씀)
(영동 백화산 11.09.04)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9-15cm, 나비 3.5-5.5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옆으로 퍼지며 중축 윗부분이 빗살처럼 되고 제2차 열편은 나비 1.5-2mm로서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로서 긴 타원형이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제1차 열편은 드물게 달리고 소열편은 나비가 보통 0.5mm정도로서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열매 수과는 길이 1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꽃 꽃은 녹황색으로 7~9월에 피며 길이 3.5-4mm, 지름 5-6mm로서 반구형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원추상으로 배열하고 한쪽으로 몰려난 총상(總狀)이다. 화경은 길이 2-6mm이다. 총포편은 둥글고 열편은 3줄로 배열되며 긴 타원형으로서 외편은 약간 짧고 중편과 내편은 길이가 같으며 뒷면이 녹색이고 잔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암꽃의 화관은 길이 1.5mm정도이고 양성화의 화관은 길이 1.8mm정도이다. 줄기 높이 40-1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다.
(한강둔치 11.08.31)
*** 줄기에 전체에 털이 없다고 되어 있으나<국생종>,곁가지 줄기엔 아래 사진처럼 털이 관찰되기도 한다.
큰사철쑥(국화과) / 한강둔치 11.07.27
'큰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이 '국생종'에는 미등재('개사철쑥'과는 다름)
한강둔치를 산책하다가 개사철쑥 사촌인지 육촌인지 하는 친구를 만났습니다.아무리 요모조모를 뜯어봐도 '개사철쑥'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그렇다고 '개똥쑥'도 아니고.『국생종』도 살펴 보았지만 아직 촛자의 눈에는 비슷한 친구가 눈에 띄질 않습니다.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쑥 종류가 60여종이나 된다네요.어느 들풀 선생이 큰사철쑥을 올려놓았는데 이 친구였습니다.그래서 잠정적으로 본인도 '큰사철쑥'으로 동정합니다만 자신은 없습니다.
* 강호제현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개똥쑥(국화과) / (남한산성 11.07.26)
개똥쑥 [개땅쑥] [개땅쑥비쑥] [잔잎쑥]




(남한산성 11.07.26)
(국립산림과학원 11.10.29)
개똥쑥은 '플라보노이드'라는 항말라리아 치료제 '아테미신'제조에 쓰이고 있다고 알려져 왔습니다.또한 미국 워싱턴대학 연구팀이 『암 저널』에 발표한 것을 보면 개똥쑥이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발표하기도 했지요.이래서 우리 산야에서 이 깨똥쑥이 또 소리없이 인간의 손에 의해 사라져 가는 것은 아닐까 심히 염려됩니다.



- 생육환경
산지의 건조지나 반음지에서 흔하게 자란다.
- 꽃/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全草는 (암려), 과실은 (암려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암려)
①8-9월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散瘀(산어), 祛濕(거습)의 효능이 있다. 血滯(혈체)에 의한 무월경, 타박상, 류머티즘에 의한 저림이나 통증 등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가루를 만들거나 혹은 짓찧어 낸 즙을 마셔도 좋다.
⑵(암려자)
①겨울에 채취한다.
②약효 : 散瘀(산어), 祛濕(거습)의 효능이 있다. 부인의 瘀血(어혈), 月經閉塞(월경폐새), 産後(산후)의 어滯(체)로 인한 腹痛(복통), 타박상, 류머티즘으로 인한 痺痛(비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가루를 만들어 丸劑(환제)나 散劑(산제)로 하거나 혹은 짓찧어 낸 즙을 마신다. - 유사종
개사철쑥, 털산쑥, 흰산쑥, 더위지기, 흰사철쑥, 참쑥 등이 있다.
(천마산 11.07.05)
맑은대쑥(국화과) 가을 뿌리잎 / (남한산성 11.07.26)
(검단산 11.08.24)
(영동 백화산 11.09.04)
(서울 청계산 11.09.20) / 어린 잎
검단산 120506
넓은잎외잎쑥 (국화과)
넓은잎외잎쑥 [너른외잎쑥] [넓은잎외대쑥] [넓은외잎쑥]


(천마산 11.07.05
(예봉산 11.07.19)
(남한산성 11.07.26)
(천마산 11.09.27)
덤불쑥(국화과) / 화악산 11.08.09
덤불쑥 [털쑥] [왕참쑥] [큰몽고쑥]
Artemisia rubripes Nakai
Compositae(국화과)
Redfoot Wormwood
더위지기 [흰사철쑥] [부덕쑥] [사철쑥] [산쑥] [생댕쑥] [애기바위쑥] [인진고] [흰더위지기]




▶전국의 표고 100~1,800m지역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가 1m 정도이다.
- 생육환경
추위에 강하여 어디에서나 생육하며 내건성이 높고 내음력도 다소 있어서 활엽수림하에서도 잘 자란다. 바닷가에서도 잘 자라고 도심지에서의 공해에 대한 저항성도 크다.
- 광선
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 결실기
11월
- 이용방안
▶흰쑥/더위지기/털산쑥의 全草를 白蒿(백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늦가을에 채취한다.
②성분 : 녹색부분은 일종의 sesquiterpine (methylene 基를 갖는다) sieversinin을 함유한다. 지상부분은 sieversin, artabsin, artab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건조식물은 alkaloid 0.12-0.2%, pyrocatechol tannin 0.499%, flavonoid 0.831%, lactone類 및 미량의 furocoumarins을 함유한다. 이 밖에 rutin, isoquercetin을 함유한다. 더위지기에서는 coumarin 계열성분(aesculetin)이 알려져 있다. 利膽效果(이담효과)가 있다.
③약효 : 五臟邪氣(오장사기), 風寒濕痺(풍한습비)를 치료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의 효능이 있다. 정신불안정으로 少食(소식)하기 때문에 항상 空腹感(공복감)을 갖는 증상, 風寒濕痺(풍한습비), 황달, 熱痢(열리), 疥癩惡瘡(개라악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달이거나,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 유사종
▶흰더위지기(for. discolor T. Lee): 잎 뒷면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전초(全草)는 소염성 이뇨제로 사용한다.
▶개사철쑥, 사철쑥, 털산쑥, 맑은대쑥, 흰사철쑥, 참쑥 등이 있다. - 특징
밑부분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맹아력이 강하다.
(남한산성 11.07.26)
(화악산 11.08.09)
국사봉 120606
청태산 120708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꽃 / 쇠별꽃 (석죽과) (0) | 2011.07.31 |
---|---|
젓가락나물(미나리아재비과) / 고추나물(물레나물과) / 물레나물 (물레나물과) / 바디나물(산형과/ 선밀나물(백합과)) (0) | 2011.07.31 |
처녀치마(백합과) (0) | 2011.07.31 |
박주가리 / 왜박주가리 / 큰조롱 (박주가리과) (0) | 2011.07.30 |
차풀 / 자귀풀 / 고삼 (콩과) (0) | 201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