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풀(국화과) / 예봉산 11.07.19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남한산성 11.10.03)
(예봉산 11.10.04) / 어린 잎
(수리산 11.10.11) / 담배풀 근엽
장성축령산 120923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고 개화기가 되면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로 되고 길이 20-28cm, 폭 8.5-15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긴 타원형으로 된다.
- 열매
수과는 길이 3.5mm로서 선점과 길이 0.7mm정도의 부리가 있으며 관모가 없고 끈끈하다.
- 꽃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cm로서 엽액에 수상으로 달리며 보통 포가 없고 총포는 길이 7~8mm, 지름 1~1.5mm로서 종형이며 포린은 3줄로 배열되고 겉의 것이 짧으며 난형 예첨두로서 짧은 털이 있고 중앙의 것과 안쪽의 것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수꽃과 양성의 통꽃이 혼생한다. 소화는 130-300개이다.
- 줄기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밀생한다.
- 뿌리
뿌리는 방추형이며 목질이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하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 형태
2년생 초본이다.
- 크기
높이 50~100cm이다.
- 생육환경
▶산지나 숲 가에서 자란다.
- 결실기
10월, 11월
- 이용방안
▶어린순은 식용으로 한다.
▶根 및 莖葉은 天名精(천명정), 과실은 鶴蝨(학슬)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天名精(천명정)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과실에는 carpesia lactone, carabrone 등의 lactone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에 는 중추신경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과실에는 capric acid, oleic acid, 右族性(우족성) linoeic acid, hentriacontane,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痰(거담), 淸熱(청열), 破血(파혈), 止血(지혈),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급성편도선염, 喉痺(후비), 말라리아, 급성간염, 急·慢性痙攣(급·만성경련), 기생충으로 인한 腹內(복내)의 硬結(경결), (혈하), 鼻出血(비출혈), 血淋(혈림), (정종창독), 皮蛙搔痒(피와소양)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짓찧어 생즙으로 하던가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던가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鶴蝨(학슬)
①가을에 과실이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과실 속에는 吉草酸(길초산), n-caprone, oleic acid, 右族性(우족성)리놀酸, hentriacontane, stigmasterol, carpesia lactone, carabrone 등의 lactone類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살충작용이 있으며 腹中에 기생충이 滯積(체적)한 것으로 인한 腹痛(복통)을 치료한다. 또 주로 회충, 요충에 사용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특징
전체에 가는털이 있으며 냄새가 난다.
긴담배풀 / 남한산성 11.07.26
(화악산 11.08.09)
(영동 백화산 11.09.04)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디풀 / 싱아(마디풀과) (0) | 2011.08.08 |
---|---|
짚신나물(장미과) (0) | 2011.08.08 |
환삼덩굴 (삼과) (0) | 2011.08.08 |
설악초(대극과) (0) | 2011.08.08 |
비비추 / 옥잠화(백합과) (0) | 201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