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반디 (좌) vs 미나리아재비 근생엽 (우) / (천마산 11.09.27)
(동정 포인트)
-참반디 : 결각 깊이가 깊고 털이 없다 / 뒤 잎맥이 뚜렷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천마산 11.09.27)
(예봉산 11.10.04)
(수리산 11.10.11)
(국립수목원 11.10.14)
천마산 120515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은 지름 5~10cm로서 밑부분까지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다시 2개로 갈라져 5개로 갈라진 장상엽과 비슷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심하게 주름지고 뒷면의 엽맥이 튀어나오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0-20cm이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엽병이 점점 짧아져서 마침내 없어지고 옆의 것이 갈라지지 않으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 열매
열매는 2~4개씩 모여 있으며 대가 없고 난상 구형으로서 바늘같은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5-6mm이며 계란형이고 표면에 있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는 길이 1.5mm정도이다.
- 꽃
꽃은 7월에 피고 백색이며 정생하는 복산형화서에 달리고 소산경은 길이 3-20mm이며 양성화의 수꽃은 가장자리에 달려 호생하고 화병이 길며 양성화는 중앙부에 달리고 화병이 없다.
- 줄기
줄기의 높이는 15~100cm이고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뿌리
뿌리는 짧고 굵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전국 각처
- 형태
다년초
- 크기
높이 15~100cm
- 생육환경
보수력이 높고 배수양호한 사질토양이 좋으며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전국의 산간 음지에서 자란다.
- 광선
음생
- 수분
습윤
- 꽃/번식방법
파종 및 근주이식 방법으로 하며 산지 이식도 가능하다. 파종방법은 9월에 채종하여 당년 가을에 열매를 파종한다.
- 이용방안
새순은 데쳐서 나물로 하며 기호식품으로 이용하며 고급 야채로 각광 받고 있고, 뿌리는 한방에서 이뇨 및 해열제로 사용한다.
- 보호방안
번식이 강하고 재배상의 큰 장애가 없으므로 자연식품으로 개발된다면 대량공급이 가능한 품목이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천마산 11.09.27)
덕유산 130626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은 총생하고 엽병이 길며 오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2.5-7cm, 폭 3-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다.
- 열매
열매가 모여서 원형의 취과를 형성한다.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약간 편평하며 털이 없고 길이 2-2.5mm로서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 꽃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2-20mm이고 취산상으로 갈라진 소화경에 1개씩 달리며 5개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서 겉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지며 안으로 오목해진다. 꽃잎도 5편으로서 꽃받침보다 2-2.5배 길고 도란상 원형이며 밑부분에 소인편이 있고 윤채가 있으며 황색이고 기부에 1개의 꿀샘이 있다. 수술과 암술이 많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화탁은 짧고 털이 없다.
- 줄기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흰털이 밀생하며 속은 비어있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 뿌리
짧은 근경에서 가늘고 긴 뿌리와 근출엽이 뭉쳐난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 분포하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 형태
다년생 초본
- 크기
높이 50cm내외이다.
- 생육환경
습기가 있는 양지에서 자란다. 산지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논·밭둑에서 자란다.
- 광선
양생
- 수분
습윤
- 꽃/번식방법
종자, 분주에 의한다.
- 결실기
9월
- 이용방안
▶독성이 있으나 잎을 생약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어릴 때는 식용으로도 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줄기째 잘라서 염액을 얻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다양하고 독특한 색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재료이다.
▶全草(전초) 및 根(근)을 모간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생것 그대로 사용한다.
②성분 : 전초에는 protoanemonin과 그의 二重體(이중체) anemonin이 함유되어 있고 신선한 식물에는 protoanemonin이 0.05%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말라리아, 황달, 편두통, 위통, 류머티성 관절염, 關節結核(관절결핵), 骨結核(골결핵), 기관지천식, 鶴膝風(학슬풍-膝關節結核(슬관절결핵)), 癰腫(옹종), 惡瘡(악창), 疥癬(개선), 齒痛(치통), 결막염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전액으로 씻는다. 水疱(수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특징
독초로서, 유럽과 미국에서는 소나 말 등이 먹고 죽은 예가 있다.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덩굴닭의장풀 (닭의장풀과) (0) | 2011.09.27 |
---|---|
바보여뀌 (좌) vs 장대여뀌 (우) (0) | 2011.09.27 |
목화 (아욱과) (0) | 2011.09.25 |
미역취 / 울릉미역취 / 미국미역취 (국화과) (0) | 2011.09.25 |
양명아주 / 명아주 / 좀명아주(명아주과) (0) | 201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