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생육지 :'쑥~'은 습기 있는 산과 들 / "개~'는 건조한 산야,바닷가 암석지
-잎에 털이 없고,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음 / '개~'는 좁고 긴 타원형,다닥다닥 붙고,양면 거칠다.
-꽃 총포편이 난형,끝이 뭉텅 / "개~'는 총포편 끝이 뾰족(선상피침형)
-열매에 털 있는데 짧고 듬성듬성 있다./ "개~'는 열매에 털 많다.(털보)
-줄기는 녹색바탕에 자주빛이 약간 돌고 / '개~"는 종선있고 털 있으며 옆으로 뻗은 가지 많다.
* 쑥부쟁이-꽃대 1개에 여러개 꽃 (보라색)
* 구절초-꽃대 1대에 1개 꽃 (흰색)
안도현의 시,<무식한놈>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니 들길 여태 걸어왔다니/나여,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절교다!
(예봉산 11.10.04) / 예봉산 계곡 냇가
(수리산 11.10.11)
하남 130625
개화기
-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호생하고 난상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8~10cm, 나비는 3cm내외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처럼 된다. 표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거친 거치가 있고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 열매
열매는 수과로 난형이고 10∼11월에 익는다. 관모의 길이는 약 0.5mm이다.
- 꽃
꽃은 7∼10월에 연한 자색(설상화), 노란색(통상화)으로 핀다. 두화는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1개씩 달리고 지름은 2.5~3cm이다. 총포는 녹색이고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며, 포조각이 3렬로 배열한다.
- 줄기
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띠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 뿌리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강하며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 분포
한국(남부)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 형태
다년초이다.
- 크기
높이 30∼100cm이다.
- 생육환경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 꽃/번식방법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 이용방안
식용
[ADNA200911222069] 쑥부쟁이 2003.09.28 / 정규영 / 안동대학교 식물표본관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한강둔치 11.10.01) 촬영 개체를 처음에 쑥부쟁이로 동정했으나 다음과 같은 관찰 상태를 재확인하였습니다.
1.잎에 털이 없고(쑥부쟁이),경생엽이 좁고 긴 타원형이며 잎 양면이 거칠다.(개쑥부쟁이)
2.꽃 지름이 3.5cm(쑥부쟁이)이고,포는 선상 피침형(개쑥부쟁이)이고
3.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주빛이 돌고(쑥부쟁이),종선있고 털이 있으며 뻗은 가지가 많다(개쑥부쟁이)
상기와 같이 쑥부쟁이와 개쑥부쟁이의 두 특성 모두를 갖고 있어 어느 쪽으로 동정해야 할지 고민됩니다.
그러나 포가 선상피침형으로 확실한 동정 키로 보아 '개쑥부쟁이'로 동정합니다.계속 관찰 및 검토 요망됩니다.
(한강둔치 11.10.01)
(검단산 11.10.02)
(남한산성 11.10.03)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기부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는 말라죽으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5-6cm, 나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엽병이 길다. 경생엽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나비 10~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가지의 잎은 길이 10-15mm, 나비 3mm정도이다.
- 열매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3mm, 나비 1.5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2.5-3mm이고 붉은빛이 돈다. 결실기 : 9-10월.
- 꽃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7-8mm, 지름 15-18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포는 3줄로 배열되며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길이 21-24mm, 나비 2.5-4mm이며 담자색이다.
- 줄기
높이 35-50cm이고 종선과 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많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 크기
높이 35-50cm이다.
- 생육환경
산야의 볕이 잘 드는 건조지에서 자란다. 바닷가의 암석지에서도 자란다.
- 광선
양생
- 토양
보통
- 수분
건조
- 꽃/번식방법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 꽃/번식방법
비교적 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며,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번식은 실생으로 한다. 이식성은 보통이다.
- 결실기
9월, 10월
-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하고, 도로변이나 공원, 정원 등에 심어 관상한다.
- 유사종
우리 나라 자생식물 가운데 Aster속은 약 18종류가 있으며, 개쑥부쟁이와 유사한 꽃을 가진 것은 버드쟁이나물이 있고, 거의 비슷한 민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가 있으며, 바닷가에서 자라는 갯쑥부쟁이, 중부 이북에서 자라는 가는쑥부쟁이, 울릉도에서 자라는 섬쑥부쟁이, 한라산에서 자라는 누운개쑥부쟁이, 2년초로 단양쑥부쟁이등이 있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국립수목원 11.10.14)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은 주걱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흐르며 길이 2.5-5.5cm, 나비 4-8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나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과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며 촘촘히 달리고 길이 12-20mm, 나비 1.5-2m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밋밋하다.
- 열매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며 길이 3mm, 나비 2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붉은빛이 돌며 우상의 적색 털이 있다.
- 꽃
꽃은 6-7월에 연보라빛 두상화로 핀다. 두화는 지름 25mm정도이고 포엽은 선형으로서 총포편과 같으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6-7mm, 나비 13-14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비슷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뒷면에 굳센 털이 있다.
- 줄기
높이는 15-25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다가 윗부분이 곧추선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제주도 한라산(표고 1,200-1500m 근처)에서 자란다.
- 형태
다년초본
- 크기
높이는 15-25cm 정도이다.
- 희귀, 특산식물 정보
[특산식물]
- 생육환경
햇볕이 잘 드는 양지의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 경사면이나 바위 틈에서 자란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척박
- 수분
건조
- 꽃/번식방법
늦은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파종하거나 저장된 종자를 이른 봄에 파종하며, 발아율과 분주성이 좋다.
- 꽃/번식방법
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비옥한 토양에서 재배하거나 시비가 과다하면 식물체가 크게 자라며 1년초화 이지만 척박한 토양에서 재배하면 다년초로도 재배할 수 있다. 고산성 식물이나 자생지에서보다 개화기는 약간 이르게 나타나지만 재배는 용이하다.
- 파종기
4월, 10월, 11월
- 이식기
4월, 5월, 6월, 7월, 9월, 10월, 11월, 12월
- 결실기
10월, 11월
- 삽목기
6월, 7월, 8월
- 이용방안
식재지 조건의 필요에 따라 1년초로 재배하거나 다년초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한 식물이다. 꽃이 아름답고 형상이 아름답기 때문에 지피용소재로 매우 좋다. 특히 메마른 토양의 경사지나 절사면 녹화용으로 아주 좋고 초물분재로도 이용할 만 하다. 식용이 가능하다.
- 보호방안
자생지는 제한되어 있으나 번식력이 뛰어나 인공적으로 재배된 개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적극적인 경제작물로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 특징
다른 Aster속 식물들과는 달리 포복성이 있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설악산 11.09.18)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40m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양면에 짧은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리고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
- 열매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2mm, 나비 1.5mm로서 선점이 있고 관모는 불완전하며 길이 1/4-1/2mm이다. 열매는 10-11월에 결실한다.
- 꽃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지름 2cm이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 줄기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 형태
다년초
- 크기
높이 30-70cm
- 결실기
10월, 11월
-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검단산 11.10.02)
(남한산성 11.10.03)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국립수목원 11.10.14)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3-19cm, 나비 4-6cm로서 밑부분이 짧은 엽병으로 되어 좁아지며 양면에 잔털이 드물게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가면서 점차 좁아져 화서에서는 선형으로 된다.
- 열매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3mm, 나비 0.8mm로서 짧은 털과 선점이 다소 있으며 10-11월에 결실한다.
- 꽃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15mm로서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5-20mm로서 갈색 털이 있다. 총포는 통형이며 길이 4-5mm이고 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녹색이고 길이가 거의 같으며 線狀(선상)으로서 외편은 예두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내편은 보다 뾰족하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고 화관은 길이 9-11mm, 나비 1.5-2mm로서 백색이다.
- 줄기
높이 1-1.5m이다.
- 뿌리
근경이 옆으로 자란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울릉도에서 자란다.
- 형태
다년초
- 크기
높이 1-1.5m
- 결실기
10월, 11월
- 이용방안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한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국립수목원 11.10.14)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7-13cm, 나비 10-15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드물게 안으로 굽은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경생엽은 다닥다닥 달리고 도피침형 또는 산형이며 끝이 둔두이고 길이 5-6cm, 나비 4-20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양면에 털이 있거나 거의 없고 가장자리에 굽은 털이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서 길이 8-15mm로 되고 선형의 포처럼 된다.
- 열매
수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2.5-3mm, 나비 1.5-2mm로서 털이 있으며 관모(冠毛)는 길이 0.5mm정도로서 백색이다.
- 꽃
꽃은 8~11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소화경에 잎과 더불어 굽은 털이 많으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8mm, 지름 15-20mm이고 포는 길이가 거의 같으며 2줄로 배열되고 선상 피침형이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며 자주색이고 화관은 길이 14-24mm, 지름 2.5-4mm이다.
- 줄기
높이 30-100cm이고 곧게 서며 가늘고 길며 가지가 갈라진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 널리 분포한다.
▶전국에 야생한다. - 형태
이년초.
- 크기
높이 30~100cm이다.
- 생육환경
해변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 꽃/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 이용방안
▶뿌리는 거담제(祛痰製)로 쓰인다.
- 유사종
개미취, 참취 등이 있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다른 쑥부쟁이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단양쑥부쟁이는 두해살이풀입니다.
특히 단양에서는 거의 멸종되다 싶이 됐닸다는 얘기도 들립니다.여기 국립수목원에는 몇 개체가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더군요.
(국립수목원 11.10.14)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5.5cm, 나비 1-3m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열매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털이 밀생하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붉은빛이 돈다.
- 꽃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두화는 지름 4cm정도이고 화경에 선상의 잎이 많이 달리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8-10mm, 나비 16-20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설상화관은 2줄로 달리고 길이 2cm, 나비 3mm정도이다.
- 줄기
초년도의 줄기는 높이 15cm에 달하고 잎이 총생하며 화경(花莖)은 전년도의 줄기에서 계속 자라고 높이 30-50c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사방으로 퍼진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한국(경기도 여주군; 충청북도 단양군, 제천시)
- 형태
이년초
- 크기
초년도의 줄기는 높이 15cm에 달하고 전년도의 줄기에서 화경(花莖)이 계속 자라 높이 30-50cm에 이른다.
- 희귀, 특산식물 정보
[멸종위기 2급] [특산식물] [멸종위기종]
- 평가내용
멸종위기종 / 국제단위
- 생육환경
냇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 보호방안
한강을 따라 분포하며,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릉골무꽃 (꿀풀과) (0) | 2011.10.05 |
---|---|
작약/백작약 (작약과) (0) | 2011.10.03 |
벌노랑이 / 서양벌노랑이 (콩과) (0) | 2011.09.28 |
비짜루국화/큰비짜루국화 (국화과) (0) | 2011.09.28 |
게일라르디아 (국화과) (0) | 201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