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장미과 나무들이 어긋나기를 하는데 병아리꽃나무는 마주난다.
-까만 열매 4개
-장미과이나 꽃잎은 4장이다.
(창경궁 11.11.22)
(경복궁 11.11.17)
창경궁 120506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대생하며 길이 4~8cm, 폭 2~4cm로서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복거치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주름이 많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견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3-5㎜이고 탁엽은 가늘며 일찍 떨어진다.
- 열매
열매는 길이 8mm정도로서 9월에 4개씩 검게 익는다.
- 꽃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3-5㎝로서 소담한 백색의 꽃이 새가지 끝에서 하나씩 피고 꽃받침은 편평하다. 꽃받침열편은 4개로서 좁은 난형이고 톱니가 있으며 4개의 작은 부악편과 대생하고 꽃잎은 4개로서 백색이고 거의 원형이다. 수술은 많고 짧으며 심피는 4개이고 꽃받침 열편 내부에서 성숙하여 흑색 윤채가 있는 타원형의 견과로 된다.
- 줄기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는 줄기가 많이 나오며 가지에 털이 없다.
- 뿌리
보통 굵기의 뿌리가 비스듬히 뻗어 자란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에서 해발 약 700m 정도 지역 또는 해안가에 분포하는데 영일만~장기곶 및 동해시~삼척에 이르는 해안가 일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형태
낙엽 활엽 관목, 수형:원개형.
- 크기
높이 2m까지 자란다.
- 생육환경
▶해발 약 700m 정도 되는 인가 부근 또는 해안가에서 자란다.
▶햇빛이 약 30% 정도 차단되는 반그늘 이상의 장소에서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추위와 공해에 강하며 건조한 점토질의 중성토양을 좋아한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삽목이 잘 안되므로 종자 파종이 바람직하다.
1.실생번식
ⓐ낙엽 전 종피가 흑색으로 되었을 때 채취하여 곧바로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가을철에 채종하여 직파하여도 된다.
ⓑ종자를 너무 건조시켜 파종하면 파종 후 2년째 봄에 발아한다.
2.삽목번식 : 3-4월, 6-7월경까지 삽목을 하면 뿌리가 잘 내린다. - 파종기
3월, 4월
- 이식기
3월, 4월, 10월, 11월
- 결실기
9월, 10월
- 이용방안
꽃은 은은하고 청순하며 주름진 진녹색 잎과 가을에 익는 `브로우치`같은 검은 열매도 관상가치가 있어서 조경용수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다. 공원 등에 군식하여도 좋고 도로 주변에 열식하면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할 수 있다.
- 보호방안
자생지 보호 및 자생지외 보존을 함께 한다. 조경수로 개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제수종으로 적극 이용하여 개체수를 늘린다.
- 특징
▶경상북도 영일군 동해면 발산리의 병아리꽃나무와 모감주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71호에 지정되어 있다. ⓐ면적:9.917㎡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하얀 꽃이 피는 모습이 어린 병아리를 연상케 한다고 하여 "병아리꽃나무"라고 불리워진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정큼나무/둥근잎다정큼 (장미과) / 후피향나무 (차나무과) (0) | 2011.11.23 |
---|---|
귀룽나무(장미과) (0) | 2011.11.23 |
피칸 (가래나무과) (0) | 2011.11.17 |
빈도리 (범의귀과) (0) | 2011.11.17 |
괴불나무,올괴불나무 (인동과) (0) | 201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