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창경궁 11.11.22) / 그림 아랫쪽 식생(3출엽 )이 '참식나무'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새로 돋아나는 잎은 마치 죽은 잎처럼 난다. 엽신은 긴 타원형, 난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7~18cm, 넓이 4-7㎝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어린잎은 밑으로 처지며 황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3출맥이 있으며 뒷면은 백색으로 되고 엽병은 길이 2-3.5cm로서 연한 갈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열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2㎝로서 다음해 10월에 적색으로 익고 소과경은 길이 8-12mm이다.
- 꽃
꽃은 이가화로 10~11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화경이 없는 산형화서에 꽃이 밀착하며 화서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피는 얕은 종형이고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수꽃은 수술이 8개, 암꽃은 편평한 암술머리를 가진 암술이 1개이다.
- 줄기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수피는 암회색으로 평활하며 소지는 녹색이고 털이 점차 없어진다.
- 뿌리
직근과 측근이 있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중국, 대만, 일본에도 분포한다.
▶제주도(표고 1,100m 산지)에서 자생하며 동해안의 울릉도, 서해안의 덕적도까지 분포되고 표고 100-400m사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형태
상록활엽교목. 수형:원개형.
- 크기
수고 10m 내외,직경 40㎝.
- 생육환경
▶한라산의 남쪽사면 해발 600m이하에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음성이 약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수세가 강하게 잘 자란다. 해풍과 공해에 잘 견디나 건조에는 약하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약함
-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종자 채취후 직파해야 발아율이 높은데 노천매장 후 파종해도 된다. 제나무에 그대로 접목이나 삽목해도 번식이 가능하다.
- 꽃/번식방법
이식이 용이하다.
- 파종기
3월, 4월
- 이식기
3월, 4월
- 결실기
10월
- 이용방안
▶기름을 추출하여 이용한다.
▶관상수로서는 최고라 할 수 있고 독립수, 정원수, 공원수, 가로수, 녹음수, 생태공원에 이용이 가능하다.
▶목재는 재질이 단단하고 질기며 향기가 좋아 건축재나 기구재로 쓰인다. - 보호방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자생지의 지속적인 보호는 물론 난대상록수림의 보호가 시급하다.
- 유사종
▶노랑참식나무(N. ariculata for. xanthocarpa Okuyama): 노란 열매를 맺는다.
- 특징
▶진도 의신면의 상록수림은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되었고, 영광의 불갑면은 제112호에 지정되어있다.
제112호 - ⓐ소재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면적:27,769㎡ ⓒ특징:불갑사 뒤편의 산 중턱쯤에서 볼 수 있으며, 이 곳이 참식나무의 북한계이다. 그 밖에 비자나무, 동백나무, 굴피나무, 느티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등이 자란다.
▶상록의 웅장한 수세와 봄철에 돋는 신엽(新葉)은 신비롭고,가을에 익는 주홍색 열매는 유난히 광택이 나고 향기로롭다.
▶목재는 재질이 단단하고 질기며 향기가 좋고 새로 돋아나는 잎은 마치 죽은 잎처럼 난다.
▶보길도 예송리 바닷가에는 높이가 10m, 흉고직경이 1.12m인 것이 있다. - 병충해정보
▶병충해 : 흰잎마름병, 문우병.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창경궁 11.11.22)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대생하고 타원상 난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5-20cm, 나비 2-10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2-5㎝로서 표면에 얕은 홈이 있다.
- 열매
열매는 지름 1.5-2.0㎝인 핵과로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며 10-12월에 적색으로 익고 겨울동안에 가지에 달려 있다.
- 꽃
꽃은 이가화로서 3~4월에 피고 지름 8mm이며 4수이고 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축에 털이 있고 암꽃은 길이 5-8cm의 화서에 달리며 꽃잎은 난형이고 길이 2mm이며 검은 자주색이고 자방은 타원형으로서 털이 있다.
- 줄기
높이가 3m에 달하고 소지는 녹색이며 굵고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다.
- 뿌리
직근이 있으나 측근이 더 발달되어 있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지리적으로 일본,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
▶경기 이남의 해안가 및 도서지방에서 자라며 거문도와 대청도는 식나무의 북한계선으로 가장 널리 자생한다. - 형태
상록활엽성관목, 수형:타원형.
- 크기
높이 3m 내외.
- 생육환경
교목의 하부에서 군락을 이루며 토심이 깊고 그늘지고 습기가 있는 비옥적윤한 토양을 좋아한다. 강한 음수이며 건조와 내한성은 약하다.
- 광선
음생
- 내한성
약함
- 토양
비옥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삽목으로 한다.
①실생 : 열매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한 후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철에 파종한다.
②삽목 : 거의 연중 삽목에 의해 번식이 가능하다. 미숙지삽목이 좋다. 3-4월, 6-8월, 9월에 가지삽목을 한다. 삽목으로 쉽게 번식시킬 수 있으며, 발근율은 매우 높다. - 꽃/번식방법
▶적지 : 그늘이나 반그늘이 좋으며 강한 광선을 차광해야 녹색이 선명해진다. 반입종은 다소 해를 받는 것이 반점이 선명해진다. 토질은 건조지에 견디기는 하나 싫어하므로 다소 습기가 많고 부식질이 많은 양토나 점질양토가 좋다. 분화초의 배양토는 밭흙에 부엽토를 2할 정도 섞어 흙이 다소 굳은 듯한 것이 도장하지 않는다.
▶이식 : 봄과 가을에 이식하는데 심는 구덩이는 크게 파고 밑거름은 넣어도 좋고 넣지 않아도 좋으나 뿌리 돌림하여 감은 새끼나 짚은 푼 다음 뿌리를 고루 펴고 심는다. 관수를 충분히 하여 흙이 가라앉은 다음 윗흙을 덮고 가볍게 눌러 둔다. 분화초는 봄에 분갈이를 하고 삽목묘나 실생묘를 심을 때는 물이 잘 빠지게 흙을 쓰며 뿌리가 활착하면 깻묵 썩힌 액비를 월 1회 정도 주어 비배한다. - 파종기
3월, 4월
- 이식기
3월, 4월, 10월, 11월
- 결실기
10월
- 삽목기
6월
- 이용방안
▶남부지방에서 생울타리용으로 식재하여도 좋고, 공원에서 군식하거나 독립정원수로 재배하여도 좋다. 분물, 실내정원에 식재한다.
▶줄기는 탄력성이 있어 단장이나 양산자루로 사용된다.
▶가축의 사료로 쓰이기도 한다.
▶엽(葉)을 天脚板(천각판)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성분 : Aucubin, aucubigenin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생잎은 짓찧어 泥狀(이상)으로 하여 찰과상, 통상, 화상, 치질에 붙인다. 과실(天脚板果(천각판과))은 짓찧어서 소맥분과 개어 塗布(도포)한다. 타박상을 치료한다. - 보호방안
자생지 주변환경을 철저히 보호하고 식물체의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인공으로 대량증식하여 경제작물로 이용한다.
- 유사종
▶금식나무(for. variegata REHDER): 잎에 황색 반점이 있으며 관상자원이다. 얼룩식나무라고도 한다.
- 특징
▶식나무는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29호에 지정되어 있다. 그숲에 나는 수종에는 생달나무, 육박나무, 후박나무, 무룬나무, 돈나무, 비쭈기나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모밀잣밤나무, 자금우, 모람, 송악등이 있으며 큰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말채나무, 산돌배나무, 쉬나무등이 있다.
▶잎의 무늬와 열매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 병충해정보
▶반점병: 잎에 검은 비로드 같은 반점이 생기든가 회백색의 반점이 생기든가 갈색 반점이 생긴다.
▶탄저병: 잎에 큰 병반을 만든다.
▶진딧물, 깍지벌레에 대한 해가 일어난다. - 방제방법
▶반점병이나 탄저병: 보르드액을 뿌리며 병든잎은 따서 태워버린다. 또 너무 음습한 곳에서 발생하기 쉬으므로 이 점을 주의한다.
▶개각충: 여름에는 마라손을 뿌리고, 겨울에는 기계유 유제를 뿌린다. 분화초일 때는 포살한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기동백나무(차나무과) (0) | 2011.11.24 |
---|---|
유자나무(운향과) (0) | 2011.11.24 |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과) (0) | 2011.11.24 |
비파나무 (장미과) (0) | 2011.11.23 |
꽝꽝나무 (감탕나무과) (0) | 2011.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