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모초 (꿀풀과)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익모초는 전국의 산과 들에 분포하는 이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이나 풀숲에서 자란다. 키는 70~100㎝ 정도
-잎은 마주 나고 잎자루가 길며 뿌리에서 생겨난 잎은 끝에 둔한 톱니가 있고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은 홍자색으로 윗부분의 잎자루에 여러 개 층층으로 달린다. 열매는 9~10월경에 달리며 넓은 달걀 모양으로 편평하다.
(하남 11.07.08)
(하남 11.08.05) (하남 11.08.18)
(한강둔치 .08.20)
(한강둔치 11.08.31)
(검단산 11.09.23)
(한강둔치 11.10.01)
(수리산 11.10.11) / 익모초 어린 잎
(남산 11.11.15)
어린 잎 / 금토동 120424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길다. 근생엽은 난상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경생엽은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이 다시 2-3개로 갈라지고 각 소열편은 톱니모양이거나 우상으로 다시 갈라지며 톱니가 있고 최종열편은 선상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회록색이다.
- 열매
분과는 넓은 난형으로서 약간 편평하며 3개의 능각이 있고 털이 없으며 숙존악 속에 있다. 종자를 충위자라 한다.
- 꽃
꽃은 홍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윗부분의 엽액에 몇 개씩 층층으로 달려 윤산화서를 이룬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고 화관은 아래위 2개로 갈라지며 밑부분의 것이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며 적색 줄이 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 줄기
높이 1m 이상 자라는 것도 있고 둔한 사각형이며 백색털이 있어 전체가 백록색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모가 지며 곧게 선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야생한다. - 형태
이년생 초본.
- 크기
높이 1m이상 자라는 것도 있다.
- 생육환경
들에 난다.
- 꽃/번식방법
번식은 종간잡종법, 생태육종법, 분주법, 삽목법, 계통분리법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실생법에 의해 번식된다.
- 꽃/번식방법
대개는 습기가 충분하면 아무곳에서든 잘 자란다.
- 결실기
8월, 9월
- 이용방안
▶全草(전초)는 益母草(익모초), 花(화)는 益母草花(익모초화), 과실은 (충울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益母草(익모초)
①여름에 꽃이 다 피지 않았을 때 지상부분을 절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細葉益母草(세엽익모초)는 leonurine, stachydrine, leonuridine, leonurinine 등 많은 alkaloid, 安息香酸(안식향산), 다량의 염화칼륨, lauric acid, linolenic acid, loeic acid, sterol, 비타민A, rutin 등의 flavonoid를 함유한다. 또 arginine, 4-guanidino-1-butanol, 4-guanidinobutyric acid, stachyose도 함유한다.
③약효 : 活血(활혈), 祛瘀(거어), 調經(조경), 消水(소수)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산후출혈, 惡阻(악조), 胎漏難産(태루난산), 胞衣不下(포의불하), 産後血暈(산후혈운-血分(혈분)이 병이 나서 일으키는 昏厥(혼궐)의 증상), 産前産後(산전산후)에 쓰이며 瘀血腹痛(어혈복통), 崩中漏下(붕중루하), 血尿(혈뇨), 瀉血(사혈), 癰腫瘡瘍(옹종창양)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8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바짝 졸여서 膏(고)로 하던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또는 짓찧어서 바른다.
⑵益母草花(익모초화)
①초여름 개화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腫毒瘡瘍(종독창양)을 치료하고, 水氣(수기)를 빠지게 하며, 혈액을 순환케 하고, 婦人(부인)의 胎産諸病(태산제병-임신출산에 수반하는 모든 병)을 치료한다. 婦女(부녀)의 補血劑(보혈제)로서 민간에서 사용되며, 보통 겨울에 紅糖(홍당) 및 烏棗(오조)와 함께 솥에서 쪄서 연일 복용한다.
③용법/용량 : 6-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충울자)
①8-10월 과실이 성숙했을 때 채취한다.
②성분 : 충울자에는 leonurin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기름 37.02%가 함유되어 있다. 충울자 油 중에는 oleic acid가 63.75%, linolenic acid가 21.13%를 차지한다. 또 비타민A類의 물질을 함유한다.
③약효 : 活血(활혈), 調經(조경), 祛風(거풍), 淸熱(청열)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崩中帶下(붕중대하), 産後의 瘀血(어혈)에 의한 통증, 肝熱頭痛(간열두통), 目赤腫痛(목적종통), (생예막-눈의 內障(내장))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0g을 달여서 복용하던가 혹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 특징
전초를 익모초(益母草)라 한다.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꽃 (분꽃과) (0) | 2011.07.09 |
---|---|
접시꽃 (아욱과) / 여주 (박과) (0) | 2011.07.09 |
개양귀비 (양귀비과) (0) | 2011.07.08 |
쇠뜨기 (속새과) (0) | 2011.07.08 |
범부채(붓꽃과) (0) | 201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