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속의 단상(斷想)

들풀탐사 / 예봉산-1 (11.07.19)

천지현황1 2011. 7. 19. 19:37

 

      들풀탐사 / 예봉산-1 (11.07.19)

 

지루한 장마가 거친 하늘은 간만에 푸르다.땡볕이 여름을 달굴 것이다.숲 속은 그래도 시원하다.예봉산 도곡리 들머리를 들어서니 마음도 한껏 푸르다.숲과 하늘을 닮았다.오늘도 100여종의 숲꾸러기들을 만났다.기분 좋은 하루였다. 

 

 1

 나비나물(콩과)

 

 

 

2

쇠무릎 (비름과)

 

 

 

 

 3

큰방가지똥 (국화과)

-잎 가장자리에 톱니 / 줄기 속이 비어 있다 / 자르면 흰 액

-줄기에 각이 졌고,잎 가장자리에 가시가 더 많은 것이 '큰방가지똥'

 

 

 

 

 

 

4

붉은서나물 (국화과)

-붉은 빛이 도는 '쇠서나물'이란 뜻의 붉은서나물

-쇠서나물 잎과 비슷하나 털이 없다.

 

 

                                                          붉은서나물(국화과) / 수리산 11.07.12

                                                        

 

 

 

 

 

 

5

깨풀 (대극과)

-

  •    잎은 호생하며(어긋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저이며 길이 3-8cm, 폭 1.5-3.5cm로서 밑부분에서 3-5맥이 갈라지고 표면에 복모가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이다.
  • 열매    삭과는 지름 3mm가량으로 털이 있고 대가 없으며 둥글다. 종자는 길이 2mm가량으로 넓은 난형이고 흑갈색이며 윤이 나고 밋밋하며 9월에 성숙한다.
  •     7-8월에 엽액에서 짧은 화경이 있는 화서가 나오고 수꽃은 윗부분에 수상화서로 달리며 포엽은 갈색이고 삼각상 난형으로서 톱니가 있으며 화서 기부에 달리는 암꽃을 둘러싼다. 수꽃의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막질이며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붙어 있다. 보통 2개의 암꽃이 달린다. 암꽃은 꽃받침이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자방은 둥글고 털이 있으며 화주는 3개이다.
  • 줄기    이 30-50cm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  

     

     

     

    6

    달맞이꽃 (바늘꽃과)

    -꽃 색 : 노란색

    -전체가 작은 '애기달맞이꽃'

    -낮에 피는 '낮달맞이꽃'

     

     

     

     

     

    7

     털까마중 (가지과)

     

     

     

     

    8

    돌피 (벼과)

     

     

     

     

    9  

    좀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10

    솔나물 (꼭두선이과)

     

     

     

     

     

     

    11

    멍석딸기 (장미과) / 목본 

    -멍석딸기 : 잎 뒷면 하얗다 / 잎 5출엽까지 나타난다.

    -사슨딸기 : 남쪽지방

    -멍덕딸기 : 가시가 붉은 빛 / 3출엽

    -곰딸기 : 가시가 있고 선모가 많다.

     

     

     

     

     

     

     

     12

    이고들빼기 (국화과)

    -가을에 피는 '이고들빼기'

    -주걱 모양의 잎은 줄기에 어긋나며,밑 부분은 귀처럼 되어 줄기를 반 쯤 감싼다

    -8~9월에 가지끝에 노란 꽃송이가 모여 달린다

    -잎 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올라온다.

    -국화과로 관모를 가지고 이동한다.

    -민들레처럼 입으로 불면 솜털처럼 날아간다.

     

     

     

     

     

     

     

    13

    환삼덩굴 (삼과)

     

     

     

     

     

     14

    명아자여뀌 (마디풀과)

    -

    큰개여뀌라고도 한다. 빈터나 길가에서 흔히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0.5∼1m이고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붉은빛이 돌고 마디가 굵으며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바소꼴이며 길이가 7∼20cm이고 끝이 뾰족하며 잎맥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고 작은 선점()이 빽빽이 있다. 잎자루는 짧고, 잎의 측맥은 거의 평행하며 20∼30쌍이다. 턱잎은 잎집 모양이고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꽃은 7∼9월에 피고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끝 부분이 밑으로 처지고 길이가 3∼5cm이며, 꽃의 색깔은 흔히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이지만 흰색인 것도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고 맥이 뚜렷하며, 꽃잎은 없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이고 꽃받침으로 싸이며 편평한 원 모양이고 양면이 약간 파여 있다. 북반구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출처] 명아자여뀌 | 네이버 백과사전

     

     

     

    *** <여뀌> 마디풀과

    눈에 보이는 핑크색부분은 꽃이 아니라 꽃잎인 냥 꽃받침이 위장하고 있는 전략을 갖고 있다.

                       여뀌...털이 없고,잎모양은 개여뀌와 같고,모시물통이처럼 하면이 녹색과 적색이 어우러져있고 마취성분

                                  이 여뀌만 맵다, 귀하다

                       개여뀌 - 흔히 길가에 보이는 건 개여뀌, 잎에 얼룩무뉘가 있다

                       바보여뀌-계곡, 바위틈 사이에 올라와

                       이삭여뀌

                       장대여뀌

                       명아자여뀌(큰개여뀌)-화소가 크면서 쳐져 있는 것

     

     

     

    15

    개여뀌 / 장대여뀌

    -줄기에 수염털

    -개여뀌 : 밀도 조밀 / 꼿꼿 / 꽃,분홍색

     

     

     

     

     

    16

    갈퀴꼭두서니 (꼭두선이과)

     

     

     

     

     

     17

    소태나무 (소태나무과)

     

     

     

     

     

    18

    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 목본

     

     

     

     

     

    19

    골등골나물(국화과)

    -잎 뒤에 선점

     

     

     

     

    20

     돌소리쟁이 (마디풀과)

     

     

     

     

     

    21

     큰까치수염

     

     

     

     

     

     

    22

    양지꽃(장미과)

    -아래 소엽

     

     

     

     

    23

     골등골나물(국화과) 

     

     

     

     

    24

    산국(국화과)

     

     

     

     

    25

     담배풀(국화과)

    -줄기 위 마감

     

     

     

     

     

     

    26

    짚신나물 (장미과)

     

     

     

     

     

    27

    산뽕나무(뽕나무과)

     

     

     

     

     

    28

    좁쌀풀(앵초과)

    -돌려나기 / 잎 뒤 갈색점 

     

     

     

     

     

    29

    노박덩굴(노박덩굴과)

     

     

     

     

     

     

     

     

     

     

     

    30

    두충(두충과) / 목본

     

     

     

     

     

     

     

     

    31

    오동나무(현삼과)

     

     

     

     

     

     

     

     

     

    32

    짚신나물(장미과)

     

     

     

     

     

     

     

     

    33

    고삼(콩과)

       -별명 : '도둑놈의지팡이'

     

     

     

     

     

    34 

     싱아(마디풀과)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 양끝이 좁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12-15cm, 폭4-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털과 맥이 있으며 곧 갈라진다.
  • 열매   매는 수과, 세모지고, 길이 5mm정도로서 꽃받침에 싸이며, 꽃받침 2배 정도 크기로 광택이 나는 흰색이다.
  •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총상으로 달리는 원추화서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달리고 잔꽃이 많다. 포는 작으며 각 2-3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보다 길며 화피열편은 길이 3mm정도이다. 꽃받침은 5장, 수술은 8개이며, 암술대는 짧다.
  •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기는 굵고 곧게 서며 가지가 많다.
  •  

     

     

     

     

    35 

     사마귀풀(닭의장풀과)

     

     

     

     

     

     

     

    36 

     좁쌀풀(앵초과)

     

     

     

     

    37

      향유(꿀풀과)

     

     

     

     

     

    38

      며느리밑씻개(마디풀과)

     

     

     

     

    39 

     광대싸리(대극과)

    -단엽

     

     

    40 

     병꽃나무(인동과)

     

     

     

     

     

     

     

     

     

     

    42 

     까실쑥부쟁이(국화과)

     

     

     

    43

    좁쌀풀(앵초과)

     

     

     

     

     

     

     

    44 

     싱아(마디풀과)

     

     

     

     

     

    45 

     방아풀(꿀풀과)

     

     

     

    46 

     고삼(콩과)

     

     

     

     

     

     

     

    47 

     생강나무(녹나무과)

     

     

     

     

     48

    딱지꽃(장미과)       /        괭이밥 (오른쪽)

    -꽃은 양지꽃과 비슷한데 잎이 다르다.

    -작은 잎 15~29장이 마주난다.

    -잎 앞면엔 털이 없고,뒷면에는 솜털이 빽빽하다.

    -앞면까지 털 있으면 '털딱지꽃'

    -작은 잎이 7~13장 있으면 '원산딱지꽃'

     

     

     

     

     

     

    49 

    미국쑥부쟁이(국화과)

     

     

     

     

    50 

     들깨풀(꿀풀과)

     

     

     

     

     

    51

     개머루(포도과) / 목본

    -잎몸이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면 '가새잎개머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