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풀 (현삼과) / 화악산 11.08.09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송이풀 시든 것
잎은 호생하지만 밑부분의 잎은 대생하기도 하고 엽병은 짧으며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지고 길이 4-9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복거치가 있다.
삭과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8-12mm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총생하는 포같은 잎사이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길이 5-10mm로서 앞쪽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은 끝이 둥글며 2-3개의 둔한 톱니와 더불어 짧은 털이 있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길이 2cm로서 끝이 새부리처럼 꼬부라지며 하순이 옆으로 퍼져서 지름이 10mm에 달하고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높이 30-60cm이고 밑에서 여러대가 나와 함께 자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줄기는 굵게 네모지고 곧게서며 속이 비었다.
- 생육환경
심산지역의 숲속에서 자란다.
- 수분
습윤
- 이용방안
▶관상용 ▶밀원.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경엽(莖葉)이나 근(根)을 馬先蒿(마선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파내서 줄기와 잎을 제거하고 진흙을 깨끗이 털어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거풍), 勝濕(승습), 利水(이수)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關節疼痛(관절동통), 小便不利(소변불리), 尿道結石(요도결석), 婦女白帶(부녀백대), 疥瘡(개창)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0g을 달여서 복용하던다 가루를 만들어 散劑(산제)로 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 보호방안
- 유사종
▶수송이풀 (var.gigantea Nak.): 전체가 크고 가지가 많다.
▶마주송이풀 (var.oppositifolia Miq.): 잎이 대생한다.
▶명천송이풀 (var.spicata Nak.): 꽃이 드문드문 달려 수상으로 된다.
흰송이풀 / 발왕산 11.08.21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선자령 140817
마주송이풀도 송이풀로 통합됨
분주령 130915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한강둔치 11.09.17)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우상은 대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우상으로 다시 중열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0~15cm이다.
- 열매
삭과이다.
- 꽃
5~6월에 개화하며 연한 홍자색으로서 밑부분에서 나오고 소화경은 길이 6cm이며 꽃받침은 긴 통형이고 겉에 5맥과 더불어 잔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통부 길이의 1/3 정도이다. 화관은 양순형으로서 상순은 활처럼 앞으로 굽고 끝이 약간 파진 듯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둥글며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산생한다.
- 줄기
잔털이 다소 있으며 원줄기가 짧다.
- 뿌리
뿌리 끝에서 잎이 밀생한다.
-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 분포
한국(경기도 가평군, 연천군; 강원도 횡성군; 경상북도 영양군)
- 형태
다년초.
- 희귀, 특산식물 정보
[특산식물] [멸종위기종]
- 평가내용
멸종위기종 / 국제단위
- 보호방안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두위봉 131020
(설악산 11.09.18)
(예봉산 11.10.04) / 복엽, 2회 깃꼴, 선모 많음
<국생지>기재문에는 꽃받침이 5개로 갈라진다고 했는데,실제 6개로 갈라진 것도 관찰됨.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대생하고 삼각상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cm, 폭 2-3.5cm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불규칙하게 깊게 갈라지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5-12mm이고 날개가 있다.
- 열매
삭과는 이그러진 좁은 난형이며 길이 3-12cm, 폭 4-6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선모가 있으며 9-10월에 익어 실배로 두 쪽이 난다.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1mm정도이다.
- 꽃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으로서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피어 총상화서꼴을 이루며 꽃받침은 종형이고 비스듬히 5개로 갈라지며 길이 5-7mm이고 꽃이 진 다음 다소 커지며 열편은 녹색이고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화관은 길이 2cm정도로서 긴 통부의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양순형이고 상순은 젖혀져서 끝이 파지며 하순은 옆으로 퍼져서 3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 줄기
높이 30-6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가지를 많이 치고 전체에 부드러운 선모가 밀생한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 형태
반기생 일년초.
- 크기
높이가 30-60cm정도에 이른다.
- 생육환경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 결실기
9월, 10월
- 이용방안
▶관상용
▶밀원.
▶전초(全草)를 松蒿(송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8-9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황달, 水腫(수종), 風熱感冒(풍열감모), 脾炎(비염), (아익)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粉末(분말)로 塗布(도포)한다.
(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떡풀(범의귀과) / 일엽초(잔고사리과) (0) | 2011.08.10 |
---|---|
꽃며느리밥풀 / 알며느리밥풀 (현삼과) (0) | 2011.08.10 |
돼지풀 / 단풍잎돼지풀(국화과) (0) | 2011.08.10 |
메꽃 / 애기메꽃 / 큰메꽃 / 갯메꽃 (메꽃과) (0) | 2011.08.10 |
어수리(산형과) (0) | 2011.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