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창경궁 11.11.22)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이 호생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길이 5~12cm, 나비 3~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2-15mm로서 털이 없다.
- 열매
삭과는 지름 3~5cm로서 둥글고 녹색바탕에 붉은 색이 돌며 3실이고 백로 무렵에 성숙한다. 삭과의 과피가 떨어지면서 1.5~2cm 크기의 잣모양의 암갈색 종자가 떨어지며, 3~9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꽃
꽃은 양성화로 적색이고 1개씩 액생 또는 정생하며 화경이 없고 반 정도 벌어지며 소포는 둥글고 겉에 짧은 백색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길이 1-2cm로서 난상 원형이고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지며 길이 3-5cm로서 수술과도 합쳐지고 수술은 노란색으로 90~100개가 있다. 꽃밥이 황색이고 자방에 털이 없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4월에 많이 개화한다.
- 줄기
높이가 7m에 달하고 기부에서 갈라져 관목상으로 되는 것이 많으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소지는 갈색이다.
- 뿌리
직근과 측근이 있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고창, 해남, 완도, 강진, 여수, 광양, 거제, 대청도,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 자란다. - 형태
상록활엽소교목
- 크기
수고 15m, 직경 50㎝까지 자란다.
- 생육환경
해풍과 염기에 매우 강해서 주로 남쪽 해변에 분포하며 강원도 도서지방 조경에 적합하다. 내한성이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어렵고 내공해성은 보통이다. 토양은 약산성으로 배수 양호하고 토심이 깊은 사질양토의 계곡에서 잘 자란다. 어려서는 그늘에서도 잘 견디나 자라면서 양수로 변한다.
- 광선
중생
- 내한성
약함
- 토양
비옥
- 수분
보통
- 꽃/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①실생 : ⓐ실생양묘시 채종 즉시 파종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다. 9-10월 하순경 완숙종자를 채취하여 직파 또는 노천매장한다.
ⓑ종자는 건조를 싫어하므로 채종 즉시 직파하거나 약간의 습기있는 모래와 섞어 저장하였다가 뿌린다.
ⓒ순량율 96%, ℓ당 입수 565립, 발아율 63% 이다.
②삽목 : 삽목의 경우 발근율이 높다. 3-4월, 6-8월에 가지삽목이나 엽아삽목을 하기도 하며 삽목이 어려운 품종은 호접으로 접목한다. - 꽃/번식방법
1. ⓐ파종은 9-10월에 채종하여 2-3일 음건한 후 물에 3-4일 담가두었다가 가라앉은 것만을 선별하여 층적저장하였다가 이듬해 3-4월에 파종한다. 파종시 발아율은 80%이다.
ⓑ삽목의 적기는 4월,6월 중순-7월 상순이며 발근촉진제는 루톤분의 또는 IBA 50-100ppm 10시간 처리가 효과적이고 방법은 미스트 또는 밀폐삽으로 한다.
ⓒ접목은 6-7월에 녹지접, 대목은 비옥한 토양이 좋다.
2. 이식은 3-4월, 6-7월, 9-10월에 행하는데 특히 가을 이식은 한풍의 피해를 많이 받는다.
3. 전정은 3월, 10-11월에 하고 새순치기는 6월말까지 끝내야 한다. 밭흙:부엽:천사를 5:3:2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배한다. 생장속도는 느린편이다. -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특용수종, 내화수종
▶목재는 가구재, 조각재, 세공재로 사용한다.
▶조경가치 및 용도 : 12월과 3월 사이에 주로 붉은색으로 피는 꽃이 아름답고, 흑자색으로 익는 열매도 관상가치가 있다. 관상수로도 훌륭하고 또한 꽃꽂이 및 꽃다발의 소재로도 널리 사용된다.
▶동백 종실에는 식용기름이 함유되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아 식용유료도 사용한다.
▶동백기름은 화장품 원료와 머리기름 등에 쓰인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동백은 염료보다 매염제로 널리 쓰여 왔다. 지치나 꼭두서니로 물을 들일 때에는 알루미늄 매염제로서 동백잎을 태운 재를 사용한다. 동백의 잎과 꽃은 염료로 이용할 수 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다.
▶화(花)를 山茶花(산다화)라 하며 약용한다.
①춘분-4,5월 보통 꽃봉오리가 부풀어 꽃이 피어날 무렵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 다음 종이봉지에 넣어 봉하고 통풍이 잘 되는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②성분 : 꽃에는 leucoanthocyanin, anthocya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과실에는 지방유, camellin, tsubaki-saponin 및 tsubaki-saponin의 aglycon인 camelliagenin A,B,C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l-epicatechol, d-catechol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양혈), 지혈, 散瘀(산어),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崩(혈붕), 腸風下痢(장풍하리), 血痢(혈리), 血淋(혈림), 타박상, 화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粉末(분말)하여 사용한다. <외용> 분말을 麻油(마유)와 고루 개어 塗布(도포)한다. - 유사종
▶뜰동백(var. hortensis MAK.) : 꽃잎이 거의 수평으로 퍼진다.
▶흰동백(for. albipetala H. CHANG.) : 백색 꽃이 핀다.
▶애기동백(C. sasanqua THUNB.) : 어린 가지와 잎 뒷면 맥 위 및 자방에 털이 있다. - 특징
▶여러나라에서 개량한 재배품종이 많다.
▶생장은 다소 느리나 7-18m에 지름이 30-50cm 씩 자라며 수명이 길어서 수백년씩 간다. 튼튼한 나무이나 추위에는 약하며 해풍에는 특히 강하다. 맹아력은 보통이다.
▶천연기념물
①제66호 - ⓐ소재지:경기 옹진 대청도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동백나무 자생 북한지(北限地)). ⓒ면적:254,381㎡ - 병충해정보
잎이나 꽃에 반점이 생기는 반점병이나 개각충이나 면충의 발생이 심하다.
병해 : 흰말병, 탄저병, 갈색점무늬병, 그을음병, 줄기마름병
충해 : 선충 - 방제방법
▶반점병: 병든 잎을 따서 태워 버리고 보르드액을 뿌려 준다.
▶개각충, 면충: 마라손이나 메타시스독스를 뿌려 구제한다.
▶병충해의 예방: 봄에서 가을까지 월 1회 정도 보르드액을 뿌려준다.
▶탄저병 : 실생묘에는 3-3식 보르도액을, 분근묘와 성목은 4-4식 보르도액 또는 다이센수화제 500배액을 6월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부린다.
▶줄기마름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점무늬병:농용 신수화제(아그렙토,브라마이신 등)800배액 또는 6-6식 보르드액을 6월 하순-8월까지 3-4회 살포한다.
▶그을음병 : 통기불량, 음습, 바료부족에 의한 생육불량 또는 질소질비료의 과다가 발병 요인이므로 이점을 주의하고, 수프라싸이드, 기계유 유제(동기에 살포), 마라톤유제 등을 10-15일 간격으로 4월초순부터 2-3회, 9월초순부터 2-3회 뿌려준다.
▶선충 : 메틸브로마이드, DD, EDB, DBCP, 베이팜 등의 토양훈증제로 토양훈증을 하여야 한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조희풀(미나리아재비과) (0) | 2011.08.25 |
---|---|
개암나무,물개암나무 (자작나무과) (0) | 2011.08.24 |
주엽나무(콩과) (0) | 2011.08.24 |
회화나무(콩과) (0) | 2011.08.24 |
분비나무(소나무과) (0) | 201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