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리속(Forsythia)】
* 개나리
- 어린가지와 잎에 털이 없다.
- 잎이 피침형이며 맹아지의 잎은 3개로 갈라진다
- 측아는 병생 및 중생부아가 있다
* 만리화
- 어린가지나 잎에 틸이 없다
- 잎은 넓은 난형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 측아는 병생부아가 없고, 아린은 모두 회황색이다.
- 참조 : 장수만리화는 어린가지에 털이 있고, 가지가 직선으로 쭉 뻗는다.
![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영문](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5.gif)
(덕수궁 11.11.08)
(하남 11.11.09) / 개나리 겨울눈
(서울국사봉 12.02.12)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대생하고 난상 피침형 또는 난상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3~12cm, 폭은 2~3.5cm로 첨두이고 넓은 예저이지만 도장지의 잎은 깊게 3개로 갈라지는 것이 많으며 중앙부 또는 중앙이하가 가장 넓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에 윤채가 있고 중간 이상에 거치가 있거나 밋밋하며 엽병 길이는 1~2cm 이다.
- 열매
삭과는 난형이며 편평하고 첨두이며 길이는 1.5~2.0cm이고 9월에 성숙하며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종자는 갈색이고 길이 5-6mm로서 날개가 있다.
- 꽃
꽃은 엽액에 1~3개씩 달리며, 소화경의 길이는 5~6mm 정도 된다. 꽃잎은 종모양 4개로 중간부터 갈라지며,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녹색이며 털이 없고 화관은 길이 1.5-2.5cm로서 깊게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다. 꽃은 4월에 밝은 황색으로 피어 화창한 봄풍경을 조성한다. 수술은 화통에 달리고 2개로서 암술보다 길거나 짧으며 암술대도 긴 것과 짧은 것이 있고 꽃밥은 길이 2mm정도이다.
- 줄기
높이가 3m내외에 달하고 여러 대가 뿌리로부터 3~6m 정도 자라며 줄기 끝 부분은 늘어진다. 소지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피목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 뿌리
잔뿌리가 많다.
-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 분포
전국의 표고 800m 이하에서 자란다.
- 형태
낙엽활엽관목.
- 크기
높이 3m 정도.
- 희귀, 특산식물 정보
[특산식물]
- 생육환경
음지와 양지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추위와 건조에 잘 견디며 공해와 염기에도 강하여 어느 지역에서나 적응을 잘한다.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비교적 어떤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생육적온은 16~30℃이고 -20℃ 이하에서도 월동하며, 35℃이상에서도 잘 견딘다.
- 광선
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비옥
- 수분
건조
-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 주로 삽목에 의해 번식한다.
①실생 : 종자를 파종할 수도 있으나 발아율이 좋지 않으므로 대체적으로는 이용하지 않는다.
②삽목: 봄 3월 하순경에 지난해 자란 가지면 더욱 좋고 그렇지 않을 때는 묵은 가지도 좋다. 30cm 길이로 잘라 밭에 2/3 정도 묻히게 꽂아 두면 쉽게 활착한다.
③휘묻이: 늘어진 가지를 중간쯤 위치에서 땅에 묻고 끝 부분은 지상에 나오게 해두면 뿌리가 난다. 이것을 잘라 독립시키면 된다.
④포기나누기: 낙엽 후나 이른 봄에 포기를 파내어 2-3으로 쪼갠 후 지상부를 1/3가량 줄이고 심으면 된다. 포기나누기 할 때 줄기에 뿌리가 조금만 달려 있는 줄기는 따로 떼어 심어도 잘 활착한다. - 꽃/번식방법
이식이 용이하다.
- 결실기
9월
- 이용방안
▶정원수나 울타리용수, 공원용수, 옥상 정원용수로 좋다. 도로변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화목으로 심으며 차폐(遮蔽)를 요하는 곳에 심으면 좋다. 또 경계식재나 사방용 식재, 단식, 열식, 군식 등 다양하게 이용한다.
▶염료식물로 이용한다. - 봄보다 가을에 채취한 것의 색상이 짙으며 반복 염색하여 짙은색을 얻을 수 있다. 매염제를 쓰지 않고도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염료이다.
▶개나리/만리화의 과실을 連翹(연교), 根(근)은 連翹根(연교근), 莖葉(경엽)은 連翹莖葉(연교경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連翹(연교)
①과실이 익기 시작할 때 채취하여 잘 쪄서 햇볕에 말린다. 또는 완숙한 과실은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과실에는 forsythol, sterol 화합물, sapinin(無溶血性(무용혈성)), flavonol 配糖體類(배당체류), matairesi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oleanolic aicd가 함유되어 있다. 靑連翹(청연교)에는 saponin 4.89%, alkaloid 0.2%가 함유되어 있고 phylligenin, pinoresinol, bisepoxylign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散結(산결),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溫熱(온열), 丹毒(단독), 斑疹(반진-猩紅熱(성홍열) 등의 피부발진), 癰瘍腫毒(옹양종독), 나력, 小便淋閉(소변임폐)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쓴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⑵連翹根(연교근) - Typhus에 의한 열로 신체가 황색으로 되기 시작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⑶連翹莖葉(연교경엽)
①성분 : 신선한 葉枝(엽지)에는 forsythin이 함유되어 있고 가지에는 4종의 非(비) glycoside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건조된 꽃에는 rutin이 2.08%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心肺(심폐)의 積熱(적열)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유사종
▶만리화(Forsythia ovata Nakai): 황해도, 강원도, 경북에서 자란다.
▶산개나리(F. saxatilis Nakai): 꽃은 길이가 13-15㎜이며 열편이 선상 장타원형이다. 북한산과 관악산 및 수원의 화산에서 자란다.
▶장수만리화(F. nakaii T. Lee): 잎모양은 같으나 꽃이 많이 달리며 길고 비틀린다. - 특징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포기를 이루며 속성수로 낮은 곳에서는 위로, 높은 곳에서는 밑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다.
▶우리 나라 특산식물로 봄철의 대표적인 꽃나무로 노란 꽃이 아름답고 토질을 가리지 않는다. - 병충해정보
▶지고병: 잎말이 벌레가 생겨 나온 순을 해치거나 가지가 말라 죽는다.
- 방제방법
▶잎말이 벌레: 티프테렉스나 데나뽕을 뿌려 구제한다.
▶지고병: 병든 가지를 잘라 태워 버리며 꽃눈이 트기 전에 석회유황합제 10배에 전착제를 넣어 뿌려 준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눈주목 (주목과) (0) | 2011.11.09 |
---|---|
쉬나무 (운향과) (0) | 2011.11.09 |
백송 / 반송 (소나무과) (0) | 2011.11.08 |
산벚나무(장미과) (0) | 2011.11.08 |
전나무/구상나무/분비나무(소나무과) (0) | 201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