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1.gif)
![학명](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2.gif)
![분류군](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3.gif)
![일어](http://www.nature.go.kr/images/plant/txt_info_04.gif)
(덕수궁 11.11.08)
(창경궁 11.11.22)
- 개화기
개화기정보 1 2 3 4 5 6 7 8 9 10 11 12 - 꽃색
- 잎
잎은 나선상으로 달라지만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우상으로 보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 폭 3-4.5㎜로서 끝이 뾰족한 미첨두이며 넓은 예저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2줄의 연한 황색줄이 있으며 중륵이 양쪽으로 도드라지고 잎이 2-3년만에 떨어진다.
- 열매
열매는 견과로서 8-9월에 붉게 익는다. 도란형의 붉은 열매가 컵모양으로 달리며 붉은 겉껍질 속에 종자가 들어 있다.
- 꽃
꽃은 일가화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6개의 인편으로 싸이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으며 암꽃은 10개의 인편으로 싸이고, 암꽃은 녹색, 수꽃은 갈색이다. 수꽃은 액출하고, 암꽃은 짧은 가지끝에 정생한다.
- 줄기
원줄기는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발달한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심재(心材)가 유달리 붉으며 얇게 띠모양으로 벗겨진다.
-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 분포
한국(설악산)
- 형태
상록침엽관목.
- 희귀, 특산식물 정보
[멸종위기종]
- 평가내용
멸종위기종 / 국제단위
- 생육환경
산중턱에서 자라는 신갈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등과 혼생하며 내한성과 내음력이 좋으나 배수성이 좋으며 토심이 깊고 습윤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어린 유묘는 상당한 음수이므로 적절한 차광시설에서 재배하고 성숙한 수목은 양수이므로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서 재배한다.
- 광선
양생
- 내한성
강함
- 토양
비옥
- 수분
습윤
- 꽃/번식방법
종자는 이중휴면성 종자이므로 2년 동안 노천매장후 파종하면 발아율이 매우 높다. 삽목은 2월경 또는 9월경에 IBA 2,000ppm을 순간침지하여 삽목하면 발근이 잘 된다.
- 꽃/번식방법
옮겨 심어도 잘 자라지만 가을에 이식하면 한풍해(寒風害)가 심하다.
- 파종기
3월, 4월
- 이식기
3월, 4월, 10월, 11월
- 결실기
8월, 9월
- 삽목기
2월, 6월
- 이용방안
▶지피용으로 이용 가능하며, 토양 절개지나 성토지 등의 사면에 식재하면 토양교정 및 안정화 능력이 뛰어나다.
▶잎, 줄기의 껍질, 종자 등을 항암제, 이뇨 및 통경제, 혈당 강하제 등의 약용으로 사용하나 독성이 있어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 보호방안
자생지가 남방한계지역으로 유전자원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악화가 우려된다.
- 유사종
▶주목(T. cuspitosa Sieb. et Zucc)
▶회솔나무(T. cuspidata Sieb. et Zucc. var. latifolia Nakai): 울릉도에서 나며, 잎의 폭은 3-4.5㎜이다. - 특징
일반적인 주목과는 달리 줄기가 지면에 닿으면 그곳에서 바로 부정근이 발생하여 땅게 견고히 붙는 특성이 있다.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0) | 2011.11.15 |
---|---|
진달래 / 철쭉 / 산철쭉 (진달래과) (0) | 2011.11.09 |
쉬나무 (운향과) (0) | 2011.11.09 |
개나리 (물푸레나무과) (0) | 2011.11.08 |
백송 / 반송 (소나무과) (0) | 201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