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꾸러기 공부방

-들풀의 이해 (제3강)

천지현황1 2011. 6. 15. 00:39

 

  들풀의 이해 (제3강)

 

  * 2011.06.14 / 윤** 선생님 강의내용 요약 

 

 

 

Q. 나무와 풀을 어떻게 구별할까?

 

 

* 나무(목본)과 풀(초본) 비교

나무(목본)

풀(초본)

눈(芽)이 있다

지상부에 목질이 있다

부피생장을 함

(나이테 만드는 형성층 있다)

셀룰로오스/리그닌을 만든다

눈이 없다

지상부에 초질이 있다

부피생장을 하지 않음

(형성층 無)

---만들지 않는다

 

 

-풀은 초질이라 겨울이면 얼어 죽는다 / 나무는 목질이라 지상부에 살아 있으면서 가지에서 눈이 싹(芽)을 틔운다.

Ref) 겨울눈의 종류...눈이 가지 끝에 있으면 정아(頂芽) / 곁가지에 있으면 측아(側芽)

-나무는 눈에서 싹이 나오고 / 풀은 눈이 없고 땅 위에서 싹이 나온다.

-나무는 형성층(부피 생성 세포)이 있으며 나이테도 있고  / 풀은 둘 다 없다.

 

Q.대(대나무?)는 나무일까,풀일까?

Ans :  풀 / 외떡잎식물이며 형성층이 없으며 나이테도 없다. (대는 풀이므로 대나무라 부르지 말자)

 

 

 

-한해살이풀 (고마리 / 강아지풀 / 닭의장풀)

                                                                       
                                                                       고마리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고마리는 여뀌속으로 습지에서 자라며 / 폐쇄화로 늘 그 자리에 많이 난다.

Ref) 폐쇄화란 꽃이 닫혀 있어 자가수분해서 종자를 만든다. 

-닭의장풀...꽃잎3장,꽃받침3장으로 꽃 속에 또 꽃이 있다.막질이라하여 투명한 부분도 꽃이다.

Ref) 꽃잎은 5장이 보편적이지만 / 냉이과는 4장으로 십자화라고 하고 십자화과로 칭한다.

특히 닭의장풀 꽃잎엔 선이 있는데 이는 유인색소 역할처럼 매개자들을 유인하는 활주로 역할을 한다.

 

 

 

-두해살이풀 ( 냉이 / 망초 / 개망초)

 

- 가을에 발아를 해서 겨울동안 땅에 붙는다.

- 원래 키가 작아 다른 키가 큰 것과 햇빛을 가지고 경쟁하지 않으려고 햇수로 2년 동안 사는 것이다.

- 겨울에는 자고 있다가 봄이 되면 꽃대를 세움 (겨울동안 미리 준비)

 

 

  노루발풀

-여러해살이풀...(참나리 / 노루발) 

 

-겨울을 나기 위해 왁스처리함

- 지상부에서는 겨울이 되면 죽는다. 하지만 뿌리는 살아있다.

- 꽃은 땅에서 피웠다가 진다.

 

Q. 참나리와 털중나리 구별법...주아가 있으면서 유인색소가 꽃 전체에 있으면 참나리 / 털중나리는 주아도 없고 꽃에 유인색소가 반 쯤 있음

 

 -육상식물은 마른 땅에서 자라는 식물 / 습지식물과 수생식물은 물과 관련해 사는 식물 

 

 

 

 

-정수식물은 습지식물로 봐도 오류가 아님

-부들은 꽃잎이 없다 / 단성화 (옥수수도 단성화)

참고) 양성화...한 꽃에 암,수술 다 있는 꽃

        완전화...한 꽃에 암술,수술,꽃잎,꽃받침 모두 갖춘 꽃 / 불완전화...못 갖춘 꽃

 

 

 

-우측 그림 부들의 흰부분은 3~4만개의 종자 송이 / 발아율이 떨어지니까 종자를 많이 만듦.

 

 

 

-달뿌리풀 / 갈대와 비슷하나 포복경이,무성생식

 

 

 

 

 

 

 

 -가시연꽃 / 기포(공기주머니) 있음

참고) 연...정수식물

 

 

 -생이가래(?) / 부레옥잠

 

 

 

   -단엽과 복엽을 나누는 기준은 ... 나뭇가지에 있는 겨울눈의 유무에 따라 구분 (아카시나뭇잎은 우상복엽)

 

   기타

   Q. 식물은 모두 꽃이 피는가?

   Ans: -식물은 꽃식물 / 꽃이 피지 않는 민꽃식물로 구분

 

   -모든 식물은 번식한다. / 꽃으로 번식하는 게 일반적이지만,고사리(양치류)는 꽃을 만들지 않고 포자(포자낭) 을 만들어 번식함. 

 

 

*  강의 내용의 요약은 요약자의 주관적인 관점이  개입되어 미흡하기도 하거니와 놓친 부분도 많고,용어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음을 밝혀둡니다.동료샘들께서 댓글로 바로 잡아 주시면 수정해 나가겠습니다.

 

* (위 사진출처:윤**님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