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여행

금오도 비렁길 생태트레킹

천지현황1 2013. 5. 21. 16:45
금오도 비렁길 생태트레킹

 

* 2013.05.18-05.19 /

                          첫날, 비렁길 1코스(함구미-두포 ,5.0km / 13:15- ) 

                                            2코스(두포-직포,3.5km / -18:15)

                          둘째날, 안도 반바퀴 (2km / 07:40- ) 돈 후,버스로 심포로 이동

                                  비렁길 4코스(심포-학동 3.2km / 09:20- )

                                            3코스)학동-직포 3.5km / -11:30)   

 

 

 

황금연휴다.주말에 1박2일 일정으로 남도로 떠난다.한 달 전부터 여행계획 일정이 짜여지고,오늘을 기다려왔다.새벽 6시에 서울을 출발한 버스는 여수 돌산 신기항에 11시경에 도착한다.배를 타고 25분 쯤 바닷바람을 쐬면 금오도에 닿는다.우리나라 섬들 중 면적으로 21번째 크기의 섬 쯤 된다.요즘 금오도의 해안 기암절벽을 따라 개설된 트레일이 '비렁길'이라는 이름을 달고 유명세를 얻었다.'비렁'은 절벽의 순우리말 '벼랑'에서 나왔다.여수사투리로 '비렁'이다.함구미마을 뒤 산길에서 시작해 해안 절벽을 따라 돌며 장지마을까지 총 길이 18.5km의 길이다.1,2코스는 바다를 끼고 도는 해안길이고,3,4,5코스는 해안선을 끼고 돌며 동백나무숲으로 우거진 울창한 숲속 길이다.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는 이 금오도의 속살을 느긋하게 즐길 예정이다.남도 식물관찰에 더 기대를 건 이번 생태트레킹은 행복만땅의 매혹적인 시간이 될 것이다.섬의 주봉인 대부산을 과감하게 생략하고 바로 해안트레킹을 선택한다. 

 

 

첫날,

 

금오도 들어가는 선상에서 점점이 떠 있는 작은 섬의 연둣빛 나무들을 본다.이 나무들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하나로 남쪽식생인 구실잣밤나무다.밤꽃 향이 그리운 호시절이 되었음을 느낀다.

 

  ◀  구실잣밤나무

 

 

 

금오도에 다가가자 이번엔 더 많은 연둣빛 나무들이 보인다.이들은 감나무들이다.집 담장안에 또 산 가장자리 언저리에 자리하며 푸른 섬에 연둣빛 세상을 연출한다. 금오도 여천 여객선터미널에 내려서자 예덕나무가 반긴다.절벽엔 송악이 살고 물통이가  올망졸망 축축한 한 곳을 차지하고 영역을 지킨다.바로 절벽아래엔 분홍꽃에 꽃밥이 도드라진 황색인 덩이괭이밥 영토다.눈을 돌리니 염주괴불주머니가 노란 꽃을 피우며 한 쪽엔 이미 염주 열매를 함께 달고 돌담에 붙어산다.길가 텃밭에는 방풍나물로 덮여있다.아마 정명은 갯방풍이 아닌가 생각된다.갯방풍의 재배품종일 것이다.비렁길1코스 시발점인 함구미선착장까지는 4-5km거리가 도로포장이 되어 있어 걷지 않고 우린 다음 배에 실려오는 버스를 기다려 탑승해 이동한다.여수를 통과할 때 가로수로 후박나무가 많았는데 여기에도 많다.

 

     

                       물통이                                              덩이괭이밥                         염주괴불주머니

 

 

                                                                                                                                              

드디어 함구미선착장부터 비렁길1코스를 들어섰다.미역널방,송광사절터를 지나 해안절벽길에 들어선다.이 트레일엔 숲이 우거지지 않아  햇볕이 내려쬐면 상당히 더웠을 것이다.다행히 밤에 비가 온다는 예보로 하늘이 흐린 탓에 우린 땡볕 걱정을 덜었다.오늘 아내는 청강생이자 정찰병 임무를 수행한다.10여m 앞서가며 새로운 식물을 발견하면 위치를 알려준다.숲 속 가장자리엔 골무꽃이 눈맞춤하고 가란다.멀리 노란 꽃을 달고 유혹의 눈빛을 보내는 나무가 여기저기 눈에 띈다.가까이 가보니 아까시 잎처럼 우상복엽을 달고 있다.개느삼일까?그러나 꽃이 총상꽃차례를 하고 있다.줄기엔 가시가 달려있다.바로 남쪽에 사는 실거리나무다.1년 전 안면도수목원에서 꽃이 지고 난 실거리나무를 본 기억이 났다.엄청나게 크고 우악스런 가시를 줄기에 달고 서 있어 섬뜩했던 기억이 났다.그런데 바로 그 나무가 이렇게 예쁜 꽃을 피우고 있다.특히 노란 꽃에 길게 벋는 수술대 끝은 붉은 색이다.퍽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골무꽃                                                        실거리나무

 

 

 

아내는 정금 열매를 따 먹으며 블루베리 맛이라고 한다.나도 시식해 보니 그런 것 같다.예덕나무가 섬에 많다.천선과나무가 작은 열매를 달고 바다를 바라본다.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오늘 오후에 2코스까지 둘러보기로 계획을 했기에 다시 산 길을 걷는다.절벽의 비렁길이 바다와 어우러져 환상적이지만,나는 식물관찰에 더 여념이 없다.이따금씩 눈을 들어 먼 수평선을 바라본다.아름다운 풍광이다.개산초 어린나무가 엽병에 날개를 달고 가시까지 무장했다.가시가 달리지 않았다면 영락없이 붉나무 치수로 오인했를 것이다.가시가 마주나는 초피나무도 길가에 서 있다.중부지방에 사는 가시가 어긋나게 달린 산초나무와 비슷한 나무이지만,초피나무는 가시가 마주난다.괭이밥이 노란 꽃을 피우고 옹기종기 모여 산다.그런데 잎에 점박이가 많다.다른 종인지 나중에 살펴봐야겠다.섬에는 멀꿀과 토종 민들레도 많다.남쪽섬이라서인지 소사나무는 약방의 감초격이다.돈나무 역시 장마루촌의 이발사다.광대나물,뱀딸기,장딸기,쥐오줌풀,멍석딸기,떡쑥 등 많은 꽃들이 피어 섬을 밝게 해주고 있구나.  

 

 

 

                             예덕나무                                                           천선과나무

 

 

                                 개산초                                                          초피나무

 

  

                                   멀꿀                                                             민들레

 

 

 

                                    소사나무                                                     돈나무 

 

  

                                      장딸기                                                      쥐오줌풀

 

 

 

                                    멍석딸기                                                         떡쑥

                            

 

 

 

 감태나무의 잎이 특이하다.새 가지가 녹색이어야 할 터인데 새 가지가 오히려 감색인 나무라니,참으로 특이하다.홀아비꽃대가 잎에 왁스를 잔뜩 바르고 꽃대를 키우고 있다.유자나무도 엽병에 넓은 날개(단신복엽)를 달고 서 있다.와! 숲 속에서 우리나라 특산식물중 하나인 개족도리풀밭을 발견했다.위대한 대자연의 화신(畵神)이 잎에 아름다운 무늬를 그려넣었다.개족도리풀 가문에 영광의 붓터치다.길마가지나무의 열매를 볼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다.열매 두 개가 합생으로 달린 모습은 특이하다.  

 

 

 

                                       감태나무                                                                           홀아비꽃대

 

 

 

                                                                                    유자나무

 

 

 

 

 

 

 

 

 

 

 

 

 

  

 

 

  

 

                                                                                  개족도리풀

 

 

 

 

                                                                                       길마가지나무

 

 

 

 

 

 

 

 

 

 

 

 

쉼터에서 인증샷을 하나 남겼다. 

 

 

 

다시 또 관찰모드로 돌린다.마삭줄 꽃이 바람개비를 돌리고 있다.멀구슬나무가 자주색 꽃을 매달고 있고,갯사상자도 숲 속에서 제 자리를 지킨다.오늘의 날머리인 직포에 도착하니 마을에 명물이 하나 설치되어 있다.설치미술 같다.돌담에 붙어 그림처럼 설계한 줄사철나무다.흰대극과 갯메꽃이 밝은 미소로 우릴 맞는다.8.5km의 트레일이 이렇게 끝이 났다.오감만족이다.오늘 환상적인 생태트레킹을 했다.

 

 

 

 

                                    마삭줄                                                                                멀구슬나무

 

 

                                 갯사상자

 

 

 

 

줄사철나무

 

 

 

 

 

           

                                           흰대극                                                                               갯메꽃

 

 

 

 

 

둘째날,

 

간밤에 비가 내렸다.다행히 아침이 되자 멎는다.비옷을 준비해 왔으나,사용할 기회가 없다.아침식사를 마치고 안도대교를 건너 안도를 반바퀴 돌아봤다.구실잣밤나무 꽃이 향기를 내뿜는다.어린 곰솔 한 그루가  화장을 하고 길손을 바라본다.안개가 걷히기 시작하자 먼 산이 코 앞에 다가온다.

 

안도를 돌고 바로 탑승해 심포로 이동했다.비렁길4코스와 3코스를 돌기위해서다.이 트레일은 동백나무숲이 우거진 약간 오르막 숲길이 있어 청량감을 준다.간밤에 내린 비로 땅이 축축하고 미끄럽다.숲 속 오솔길을 트레킹하는 맛이 좋다.습지가 많아 털머위와 큰천남성이 곳곳에 많다.숲이 우거져 비렁길1,2코스처럼 식생이 다양하지 않다.그래서 고개를 쳐들고 당당하게 걷는다.

 

금오도비렁길을 5코스만 생략하고 다 걸어보았다.요즘 가는 곳마다 둘레길을 만들어놓고 관광객을 부른다.봄이 무르익는 지금이 금오도 비렁길 생태트레킹하기에 딱 좋은 시기이다.주위사람들에게 강추코스로 기억해둔다.돌산도로 나와 횟집에서 거나하게 한 잔을 들고 귀경길 버스 속에서 단잠을 청했다.그러나 잠은 오지 않고 남쪽 식생들이 어른거려 복귀의 시간을 가져본다.즐거운 생태트레킹으로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안도

 

 

 

 

 

 

곰솔

 

 

 

 

안도해수욕장

 

 

 

 

안도 오렌지다리

 

 

 

 

 

       

                                        붉은괭이밥                                                                               봉의꼬리

 

 

 

큰천남성

 

 

 

                                       

 

 

털머위

 

 

 

여행 Tips

비령길 코스 안내
제1코스
 함구미~미역널방~송광사 절터~신선대~두포(5km, 2시간)
제2코스 두포~굴등전망대~촛대바위~직포(3.5km, 1시간30분)
제3코스 직포~길바람통전망대~매봉전망대~학동(3.5km, 2시간)
제4코스 학동~사다리통전망대~온금동~심포(3.2km, 1시간30분)
제5코스 심포~막개~장지(3.3km, 1시간30분)
종주코스 함구미~두포~직포~학동~심포~장지(18.5km, 8시간30분)


 

여객선 안내(지역번호 061) 대개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금오도 비렁길 기점인 함구미항(약 1시간30분)으로 입도하고, 여천항에서 1일 7회 운항하는 신기행 여객선으로 빠져나간다. 돌산도 신기항에서 여수시까지 약 30분.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금오도 함구미 06:10(함구미 07:40), 09:40(11:10), 14:50(16:00). 요금 1만3,500원. 화신해운 665-0011(~2)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금오도 우학리 06:20(08:30). 14:30(16:30). 요금 1만2100원. 한림해운 666-8092.
■돌산도 신기항→금오도 여천항 07:45(08:20), 09:10(09:40), 10:30(11:00), 12:00(13:00), 14:30(15:00), 16:00(16:30), 18:00(18:30) 요금 5,000원. 문의 한림해운.
*섬내 마을버스(청지운수) 665-9544(011-616-9544), 남면택시 666-2651(011-9614-2651). 비상연락처 남면파출소 665-5112. 면사무소가 위치한 우학리 농협에서 자동차용 경유를 판매한다. 휘발유 차량은 입도 전 연료를 충분히 채워 넣어야 한다.


 

숙식(지역번호 061)  민박은 금오도와 안도를 합쳐 20여 개가 운영되고 있다. 함구미민박 (664-9148), 심포 민박(010-9064-9554), 장지 돋은별펜션(665-4599), 장지 언덕펜션(665-1120). 직포 열린민박(010-3609-9811), 금오도 명가모텔(665-9520), 안도 안도모텔(665-3369). 문의 남면사무소(690-2605). 여수시 관광 홈페이지 www.ystour.kr/kr/recommend/walking_01.jsp
식당은 대부분 우학리 남면사무소 주변에 있다. 여남식당(665-9546), 명가식당(665-9520). 자연산 어패류를 맛보려면 예약을 하고 가는 게 좋다. 식당마다 어민들을 통해 그날그날 필요한 만큼 물건을 받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