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속의 단상(斷想)

성남 인릉산-대모산 / 201004

천지현황1 2020. 10. 4. 17:44

성남 인릉산-대모산 / 201004

 

* 청계산입구역 2번출구(09:55)-청룡마을-인릉산-세곡동-세명공원-대모산 능선숲길-대모산-수서역(15:20) ... 15.75 km

 

(아래 산행개념도에서 대모산에서 구룡산 방향이 아니고 수서역 방향으로 하산) 

 

"세월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이 빈말이 아니네."대모산 숲길을 걸으며 툭 내뱉었다."그러게." 아내도 톡 뱉는다.인생 망칠십에 육신은 점점 낡아만 간다.설악 공룡을 타는 꿈은 멀어져만 간다.인적이 좀 덜한 산길을 찾다가 인릉산을 찾아냈다.청계산입구역을 빠져나오자 산객들이 출구 밖에 빽빽하게 모여 일행들을 기다리고 있다.모두 청계산을 가는 산객들이다.

 

우린 길 건너 청룡마을 골목길에서 인릉산 오름길을 찾는다.오솔길엔 볕뉘만 있을 뿐 산객은 우리 뿐이다.인릉산까지 오르면서 몇 사람만 스쳐 지나갔을 뿐 한적한 산길이다.봉우리 몇 개를 넘고서야 인릉산 정상이 나타났다.성남누비길 7구간과 헌인로 갈림길까지 함께 간다.유순한 육산 오솔길이 마음에 든다.오붓하게 산길을 내린다.세곡동으로 내리니 동네가 많이 변했다.아파트도 많이 들어차서 제법 큰 동네를 형성하고 있다.헌인로IC 부근 세명근린공원 뒷산이 대모산 숲길과 이어진다.걷기 좋은 대모산 능선 숲길이다.800 여 m 떨어진 헌인릉 답사는 다음 기회로 미룬다.아내는 30여 년 전 교직생활 할 때 학생들과 이곳 헌인릉에 소풍 왔던 추억을 떠올렸다.당시 우린 헌인릉 부근 음식점을 자주 들락거렸었다.희미해진 추억을 소환하며 도란댔다.

 

대모산에서 수서역으로 내리는 하산길엔 적막이 깨졌다.오르고 내리는 산객들로 만원이다.서울 근교에도 찾아보면 이렇게 조용하고 걷기 좋은 아름다운 숲길이 숨어 있다.성남누비길 7구간도 그 중 하나다.가끔 찾고 싶은 숲길로 메모해 둔다.

 

 

 

 

*** 인릉산 / 인릉산이란 산이름은 북쪽에 위치한 순조의 능인 인릉의 조산(朝山)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여겨진다. 인릉대모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조선 23대 임금인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원래 대모산은 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 하여 할미산으로 불리다가, 조선 태종헌릉이 자리하면서 '노파'보다는 '어미'라 부르는 것이 낫다는 세종의 어명에 의해 대모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출처 : 위키백과)

 

*** 헌인릉 / 사적 제194호

강남구 내곡동 대모산 남쪽 기슭에 자리 잡은 헌인릉은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인 헌릉과 제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인릉을 합쳐 이름 붙인 곳이다.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우거진 숲이 일품이며, 헌릉에는 아름다운 오리나무 숲에 둘러싸인 습지가 있다.

원래 왕릉 뒤에는 우거진 숲을 계획적으로 조성했고, 특히 봉분 뒤에는 소나무를 심었다. 소나무가 나무 중의 나무로 제왕을 뜻하기 때문이다. 봉분 주변에 심은 떡갈나무는 산불을 막는다. 지대가 낮은 홍살문 주변에는 습지에 강한 오리나무를 심었다. 헌릉이 그런 예다. 오리나무는 장수목으로 옛날에 5리마다 심어놓고 거리 표시를 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낙엽 활엽수의 교목으로 습하고 비옥한 정체수가 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목질이 붉은 것은 오행 중 남측을 상징하며, 말라도 갈라지지 않아 가구 제조용으로도 많이 사용한다.

태종 때는 유달리 천재지변이 많았다. 태종이 사망하기 하루 전 지진이 일어났고, 홍수에 마소가 떠내려갔고, 태종이 만년에 애용한 정자 기둥이 무너지기도 했다. 이런 상황을 못내 안타깝게 생각한 태종은 자신이 죽어 혼이 있다면 이날 비를 내리게 하겠다고 유언을 남겼다. 이후 해마다 태종의 기일인 음력 5월 10일이 되면 비가 왔는데, '태종우'라고 하는 이 비는 헌릉의 혼유석 밑 하전석의 네모난 구멍 속에 고였다고 한다.

학자들이 헌인릉에 주목하는 이유는 400년 이상의 시간차를 두고 조성된 두 개의 왕릉에서 조선 초기와 후기 양식을 비교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정면으로 인릉이 있고 우측으로 길을 따라가면 헌릉이 있다.(출처 : 이종호 /

과학문화유산답사기1 )